일본, 수소 공급망 2040년 공급량 6배 1200만 톤 계획
스크롤 이동 상태바
일본, 수소 공급망 2040년 공급량 6배 1200만 톤 계획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일본, 민관 합해 향후 15년간 15조 엔(약 148조 3,800억 원)의 투자 계획
- 일본 정부, 대규모 공급망(supply chain)구축 적극 지원
- 청정에너지인 ‘그린수소(green hydrogen)’ 국제표준 주도
- 2030년대 페로브스카이트형 태양전지 보급
- 2023년도 부체식 해상 풍력 발전 도입을 검토

일본 정부는 4일 차세대 탈탄소(脫脫炭) 연료로 수소(Hydrogen)의 새로운 도입 목표를 제시하기로 했다. 2040년에 현재 상황의 6배인 1200만 톤 정도로 늘리는 방향으로 조정한다는 방침이라고 닛케이(일본경제신문)이 이날 전했다.

일본 정부는 민관 합해 향후 15년간 15조 엔(약 148조 3,800억 원)의 투자 계획을 검토 한고, .정부가 도입 목표를 명확히 함으로써 기업의 투자를 촉진한다는 계획이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이날 오전 총리 관저에서 연 “재생에너지·수소 등 관계 각료회의”에서 2017년 결정한 “수소기본전략”을 개정할 뜻을 밝히면서 이날 회의에서 골자를 제시했다.

산업계나 유식자 등의 의견을 근거로 해 수소기본전략을 5월말 목표로 최종 정리한다는 방침이다.

기시다 총리는 “호주나 중동, 아시아의 국제적인 공급망의 구축, 거점 정비의 구체화를 가속화 하겠다”고 말했다.

수소의 현재 공급량은 연간 약 200만 톤이다. 2030년 300만 톤, 2050년 2000만 톤을 목표로 한다는 방침을 세워 왔다. 새롭게 40년 목표를 설정하여 보급의 길을 제시한다.

수소기본전략의 골자에서는 2030년쯤 상용으로의 실용화를 목표로 해, 공급망(Supply Chains)의 구축을 정부가 뒷받침할 방침이다. 전기분해로 수소를 만드는 수전해장치 도입도 목표를 설정, 수소를 생산하는 기반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청정수소(Clean Hydrogen)의 세계 기준 마련을 일본이 주도한다는 방침도 담았다.

특히 수소에너지 분야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는 한국도 정부의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지원을 통한 전지자동차와 함께 수소에너지를 이끌어 나가야 하겠다. 전기차(EV), 자동차용 배터리 및 반도체와 더불어 미래 먹을거리인 ‘수소 에너지’에 대한 대담한 투자가 이뤄져야 하겠다.

제조 시 이산화탄소(CO2)를 배출하지 않는 그린수소(green hydrogen)와 제조 시 발생하는 일본 정부는 CO2를 회수하는 블루수소(blue hydrogen) 등이 클린수소로 불린다. 수소 제조 시 발생하는 CO2 배출량으로 평가하는 기준을 만들 생각이라고 한다.

이어 일본 정부는 재생에너지 도입 확대를 위한 실행계획도 마련했다. 기시다 총리는 관계 부처에서 제휴해 임하도록 지시했다.

이어 일본 정부는 “페로브스카이트형(perovskite) 태양전지”라고 부르는 차세대 패널을 2030년까지 보급시킬 방침을 내걸었다. 기존 실리콘제에 비해 가볍고 접을 수 있는 것이 특징이며 빌딩 벽이나 휘어진 옥상에 부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페로브스카이트는 “ABX3 화학식을 갖는 결정구조이며, 부도체, 반도체, 도체의 성질은 물론 초전도 현상까지 보이는 특별한 구조의 금속 산화물”을 말한다. 1839년 러시아 우랄산맥에서 처음 발견됐으며, 러시아 광물학자 과학자 페로브스키(Perovski)의 이름을 딴 것으로 알려졌다. ‘회(灰)티타늄 석’이라고한다.

일본 정부는 국내 기업의 양산을 지원, 공공시설과 역, 학교 등에서 도입하기로 했으며, 보급 초기 단계의 수요를 만들어 도입을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기존 태양광 패널은 거의 중국산이기 때문에, 차세대형 국산화로 중국 의존을 줄이려는 의도도 있다. 기시다 총리는 “(일본) 국산 재생 에너지의 도입 확대를 향해서 양산 체제의 구축에 나서겠다”고 다짐했다.

실행 계획에는 발전 설비를 바다에 띄우는 “부체식 해상 풍력 발전(浮体式洋上風力発電)”의 도입 목표를 2023년 도 중에 책정할 방침을 명기했다. 주택용등의 축전지에 대해서도 향후의 도입 전망을 동년 여름에도 정한다.

기시다 총리의 이 같은 구사에 대해 일부 전문가는 비판하고 나서기도 했다. “과연 공공시설이나 역, 학교 등에서 도입'하는 전략으로 정말 괜찮은가?”하는 질문이다. 한 곳에서는 소규모 수요밖에 없는 것을 다수의 장소에 공급하게 되면 “규모의 경제”가 작용하지 않고, 공급망 구축의 비용도도 방대하게 증가한다고 지적했다.

국제적으로는 수소는 “Hard to Abate(제거 곤란)” 부문, 즉 제철업 등 화석연료를 대량으로 사용하지만 전기 대응이 어려운 산업부문을 탈탄소화(decarbonization)하는 카드로 이해되고 있다.

대량의 잉여 재생에너지 전력을 이용한 물의 전기분해에 의한 그린 수소 생산은, 2035년쯤에는 채산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저렴하고 대량의 재생에너지 공급이 전제조건이지만, 일본에는 이 조건이 갖춰져 있지 않아 2020년대 국제적 투자경쟁에서 불리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점 한국 정부나 업계에서 미리 대비하는 게 좋겠다.

수소를 탈탄소 수단으로 자리매김하고 새롭게 내세우는 야심찬 도입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당연히 수소의 생산부터 수송, 저장, 이용에 이르는 기술개발은 물론 이를 촉진하는 끊임없는 자금 공급이 필요하다.

더불어 대량의 수소를 저렴하고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서는 해외로 눈을 돌리는 것이 불가피하다. 녹색수소에 필요한 태양광 발전 비용은 일본 국내에서는 초당 10엔(약 98원)을 넘는 반면 중동 사막지대 등에 설치한 거대 태양광 발전소에서는 1엔(약 9원)대로 일본에서보다 무려 1/10에 불과해 경쟁력을 가지고 있다.

수소의 본격 활용에는 에너지 안보와 공급망 안정, 불리하지 않은 국제 규칙 마련 등 탈탄소 시대의 자원 외교가 절대 조건이라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메인페이지가 로드 됐습니다.
가장많이본 기사
뉴타TV 포토뉴스
연재코너  
오피니언  
지역뉴스
공지사항
동영상뉴스
손상윤의 나사랑과 정의를···
  • 서울특별시 노원구 동일로174길 7, 101호(서울시 노원구 공릉동 617-18 천호빌딩 101호)
  • 대표전화 : 02-978-4001
  • 팩스 : 02-978-8307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종민
  • 법인명 : 주식회사 뉴스타운
  • 제호 : 뉴스타운
  • 정기간행물 · 등록번호 : 서울 아 00010 호
  • 등록일 : 2005-08-08(창간일:2000-01-10)
  • 발행일 : 2000-01-10
  • 발행인/편집인 : 손윤희
  • 뉴스타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뉴스타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newstowncop@gmail.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