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무관심 KLO8240부대 "국가유공자인정못받아"
스크롤 이동 상태바
정부 무관심 KLO8240부대 "국가유공자인정못받아"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미국정부, KLO8240 국가유공자 인정 받도록 한국정부에 건의해야

^^^▲ KLO 8240부대원 출신들, 보수단체 '북괴전쟁도발규탄대회'에 참석한 모습
ⓒ 뉴스타운 신승수^^^
생존해있는 KLO 8240 주한국제연합유격군을 말한다.

국제연합유격군 KLO 8240부대 출신에게 국가는 하루 속히 6.25전쟁 유공자와 같은 국가 유공자로 인정해야 한다.

1. 개요

국제연합 한국 유격 군은 6.25 한국 전쟁 기간중 북한지역과 38도선 접경지대에 거주하던 청년학생들이 '반공'의 기치아래 '자유의 의병'으로 자생적인 무장 유격부대들을 조직하여 적치하의 북한 내륙과 동.서해연안 및 도서지역에서 게릴라전, 특수공작, 첩보활동, 심리교란전, 양민구출 등을 전개한 '반공빨치산부대'들의 총칭이다.

군번도 계급도 없이 '자유의 의병'으로 참전한 총병력은 무려 3만여명에 달하였으며, 그들은 대체로 출생연고지 중심으로 약30개의 단위부대로 편성되었고, 처음에는 미8군, 다음에는 미극동군사령부와 연계하여 유격작전을 전개하였다.

그러나 1953년 7월 27일 휴전이 성립되면서 유엔군의 보급지원 종료와 철수지시에 따라 각부대는 남한으로 이동철수하여 대기하던중 한국정부와 유엔군사령부와 협약에 따라 1954년 2월22일 에 대한민국 육군에 편입됨으로써 자동해체 되었다.

2. 한국유격군 연혁

(1)북한지역과 38도선 접경지대에 거주하면서 반공사상을 지녀온 많은 청년학생들은 1950년 6월 25일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인민군 입대를 거부하고 지하와 산중으로 피신한 다음 반공결사를 조직하였고 유엔군의 북진에 때를 맞추어 무장봉기를 감행하여 수복된 고향 땅에서 치안대, 청년단, 학도호국대 등으로 공비소탕과 치안사업에 헌신했다.

그러나 중공군의 불법참전으로 유엔군이 철수하게 되자 반공치안대, 청년단, 학도대 등은 향토사수를 외치며 결사항전을 진행하다가 중과부적으로 동서해 연안도서로 철수하거나 북한내륙의 산악지대로 이동하여 자생적인 반공유격대가 되었다.

(2)1951년 2월에 미8군사령부 비정규전과는 이들 자생적 유격부대의 전략적.전술적 가치를 높이 평가하여 상호 협조관계를 형성키로 하였다.

이로써 미8군 비정규전과 장교단은 서해안의 백령도와 강화도에 사령부를 설치하여 유격부대들에게 보급지원과 해상.공중에서의 작전원호를 담당하였고, 각 유격부대는 인사.작전면의 독자성을 가지고 대공게릴라전을 본격화하였다.

(3)1951년 7월부터는 유격부대에 대한 관장업무가 미극동사령부 주한연락처(KLO.제8240부대)로 이관되었으며, 동해안사령부가 추가되었고 본부 직할 첩보공작대도 증편되었다.

(4)1951년 2월부터 53년 7월까지 30여개의 유격부대들은 북한지역 연안일대와 적지내륙을 작전지역으로 하여 해안선침투 상륙작전, 공산군배후 습격, 교량.교통망 파괴, 공수특전 침투 등을 전개하여 공산군 3개군단(함경도와 평안도 연안에 2개 군단,북강원도와 함경도 연안에 1개 군단)을 견제하는 전략적 효과를 거두었을 뿐만 아니라 남포항과 원산항의 입구를 봉쇄하여 동.서해 제해권 확보에도 크게 기여하였다.

(5)유격작전은 또한 군사정보수집, 유엔군 조조사 구출, 양민북한탈출 안내, 도서지역 주민 생활안정 등 부대적 효과도 매우 컸으며, 적지않은 인민군 군관.사병들이 유격부대에 귀순해 오기도 하였다.

그러나 전쟁기간중 한국유격군의 활동은 세간에 잘 알려지지 않았다. 적지에서 활동하는 특수작전이므로 군사기밀로 취급되었으며 휴전 이후에도 미군당국이 2급 비밀로 분류하여 관리해 왔기 때문이다.

(6)유격부대에 대한 기록문서는 1984년에 이르러 (휴전후 30년 경과)비밀등급 하향으로 일반문서화 되어 비로서 공개하게 되어 '국제연합한국유격군'의 실체가 햇빛을 보기에 이르렀다.

미 육군성 기록에 의하면 전쟁기간중 한국유격군은 대.소규모의 전투 4,445회를 감행하였고, 약 7만의 적을 살상한 것으로 정리되어 있다.

(7)휴전 성립후 1954년 2월 유격군 30여개부대는 국방부 제8250부대로 통합되었다가 육군부대로 분산편입 되었으며, 유격군간부중 753명이 현지임관(소위~소령)되었고, 대원 약12,000명이 하사관.사병으로 현지입대됨으로써 발전적인 부대해체를 보았다.

3.한국유격군 전우회 총연합회의 창립

(1)70년대 이후 동.서해 주둔지, 소속 및 부대별로 생존전우들이 조직하여 운영되어 오던 20여 전우회가 1992년 12월11일에 한국유격군전우회총연합회로 통합되어 1994년12월 이북5도청(통일회관117호)으로 사무실을 정하게 됨으로써 전우회의 활동이 면모를 갖추게 되었고, 총연합회의사업목표인

1)유격전의 무훈을 기리는 기념사업
2)유격전에서 산화한 전몰용사를 추모하는 현창사업
3)유가족,전상자 및 회원들의 권익을 수호하고 증진시키는 사업
4)회원상호간 및 기간단체 상호간의 친선단결을 도모하는 사업
5)승공.민주.평화통일에 이바지하는 사업
등을 활발히 추진중에 있다.

(2)총연합회에 가입된 전우회는 26개 전우회이며, 가입회원은 약 4,000여명에 이르고 있다.

4. 6.25 참전중 산화한 전몰유격군 위패봉안 휴전후 유격군이 한국군으로 편입하는 과정에서 미결로 남은 문제는 시체없는 유격군 전사자의 국립묘지 봉안문제였던바,

당시는 시체없는 전사자의 봉안은 근거규정이 없어 할수 없었으며, 1970년 1월 9일 제정된 국립묘지령에 의하여 시체없는 전사자도 위패로 봉안할 수 있게 됨에 따라 40여 성상이 흐른 근자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육군본부의 배려로 1차(1995.6.20)에 2,410위, 2차(1996.5.15)에 1,005위, 3차(1997.5.26)에 304위, 4차(2000.4.8)에 156위, 총3,875위의 유격군 전몰용사 위패를 대전국립묘지 현충탑에 함께 모시게 됨으로써 유족들과 전우들의 숙원을 풀게 되었다.

반세기가 지난 작금에 생존해있는 (KLO)8240부대 출신에게 국가는 아무런 혜택을 주지 않고 있다. 국가와 국민의 정부는 속히 소년 학도(KLO)들에게 재일 학도 의용군 과같이 국가 유공자로 선정해 주어야한다.

자료발취 :사 답법인 희망국가유공자용사촌 불로그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메인페이지가 로드 됐습니다.
가장많이본 기사
뉴타TV 포토뉴스
연재코너  
오피니언  
지역뉴스
공지사항
동영상뉴스
손상윤의 나사랑과 정의를···
  • 서울특별시 노원구 동일로174길 7, 101호(서울시 노원구 공릉동 617-18 천호빌딩 101호)
  • 대표전화 : 02-978-4001
  • 팩스 : 02-978-8307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종민
  • 법인명 : 주식회사 뉴스타운
  • 제호 : 뉴스타운
  • 정기간행물 · 등록번호 : 서울 아 00010 호
  • 등록일 : 2005-08-08(창간일:2000-01-10)
  • 발행일 : 2000-01-10
  • 발행인/편집인 : 손윤희
  • 뉴스타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뉴스타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newstowncop@gmail.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