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재벌)은 대한민국의 공신(功臣)인가, 공적(公敵)인가?
스크롤 이동 상태바
대기업(재벌)은 대한민국의 공신(功臣)인가, 공적(公敵)인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제대국화의 위업을 이뤄 온 대기업(재벌), 온 국민들로부터 정성어린 큰 박수와 격려를 받아 마땅하다

▲ ⓒ뉴스타운

한 나라가 보유하고 있는 대기업수를 보면 개략적으로 그 나라의 경제력을 가름해 볼 수 있는데 이를 나타내는 대표적 지표로 현재 Fortune Global 500과 Forbes Global 2000이 사용되고 있다. 전자는 순수민간기업 만을 대상으로 한 지표이며, 후자는 공적으로 사고 팔 수 있는 민간기업과 공기업 모두를 대상으로 한 지표이다.

2016년 말 현재 Fortune Global 500은 33개국의 기업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위 10개국이 425개사로 전체의 85%를 차지하고 있는데, 이들 10개국 중 상위 6개국은 국가경제총규모에서도 같은 순위를 내보이고 있어 한 나라의 대기업수와 그 국가의 경제총규모 사이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게 해준다.

한국은 15개사로 7위이며 세계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3%로, 6위 영국의 5.2%와 다소 차이를 보이고 있는 형세다.

한편 2016년 현재 Forbes Global 2000은 60개국의 기업들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위 5개국이 약 60% (1,179개), 상위 10개국이 약 70% (1,446개) 차지하고 나머지 50개국이 30%를 형성하고 있다.

국가별로 그 순위를 보면 미국 540, 중국 296, 일본 219, 영국 99, 한국 67개로 한국은 5위이며 뒤이어 프랑스가 61개로 6위를 나타내고 있다.

Fortune Global 500과 Forbes Global 2000 지표는 세계경제에서 한국이 차지하는 경제적 비중이 대략 3.0-3.35%이며 영국은 5.0% 그리고 프랑스는 3.1%로 한국은 프랑스와 비슷한 수준으로 이해되며, 스위스 네덜란드 캐나다 스페인 이태리가 우리를 뒤따르고 있다.

그러면 대기업체수와 경제규모에 있어서 100위권을 밑돌던 한국이 지난 50년 사이에 어떻게 세계 상위의 경제대국으로 성장발전 할 수 있었던 것일까?

흔히 한국은 지난 50년 사이에 산업화와 민주화를 동시에 이룬 세계 유일의 국가로 전 세계에서 평가받고 있는데 산업화의 성공은 앞의 지표들이 보여주듯이 객관적으로 쉽게 이해되고 수긍이 가지만 민주화에 대해서는 이의를 다는 이들이 국내외에 의외로 무수히 많다. 이는 아마도 ‘헬 조선, 이게 나라냐, 경제파탄, 금수저, 흙수저 등’의 선동구호가 시사해 주듯 국회, 검찰, 특검, 사법부, 헌법재판소, 행정부, 언론 들이 똘똘 뭉쳐서 거짓 조작 허위 편파로 불법 무법 초법을 자행하며 문재인 정권을 등장 시킨 뒤 불과 2개월 사이에 보여 온 그들의 행보는 그간 민주화의 이름으로 위장한(?) 반국가무리들의 주장과 너무나도 같다는 것을 분명히 내보여주고 있다.

이들은 산업화에는 조금도 기여 않고 산업화의 혜택은 기가 막히게 찾아 누리면서도 산업화 성공은 정경유착의 산물일 뿐이며, 누가 사업하든 산업화 성공은 하늘에서 거저 덜렁 떨어뜨려 주는 것쯤으로 치부하며, 산업화의 주역들은 착취주범이요 대기업(재벌)은 적폐의 대상이라며 산업화 세력을 매도 폄하하는 꼴을 보노라면 하도 기가 막혀 할 말을 잃게 되는 데 이 어찌 비단 필자뿐이랴!

필자는 대한민국의 산업화와 관련하여 참으로 운 좋게도 지난 50여 년간 산업체와 정부의 지원에 힘입어 산업화 과정과 거의 궤적을 같이하면서 아주 값진 연구기회와 연구경험을 공유할 수가 있었는데 이들을 잠시 대충 더듬어 보고자 한다.

1) 1969년 공군중위 제대를 두 달 앞둔 5월 어느 날 당시 스카우트 아닌 스카우트로 우연찮게 합류하게 된 KIST에서 처음 연구를 시작할 때 지녔던 사고(思考)의 하나는 사회현상에도 자연 질서가 그대로 적용된다는 인식이었다. 

특히 그 중에서도 ‘물은 언제 어디서나 높은 곳에서 아래로 흐른다.’는 것과 같은 보편질서(universal law)와 ‘물살은 협곡에서는 빨라지고 강폭이 넓어지면 느려진다.’는 식의 상황적응질서(contingency laws)가 사회현상에서도 적용될 것이라는 인식이었다.

이런 인식을 기초로 1970년대 초반 KIST 경제분석실에서 필자가 실무책임을 맡아 행한 첫 연구 프로젝트가 POSCO 건설 타당성 검토연구였다.

당시 국내 철강 시장규모는 왜소하고 철광자원도 희소할 뿐만 아니라 공장을 건설할 돈도 기술도 물론 없고 철강회사경영경험은 전무였으며 다만 있는 거라고는 당시 KIST로 영입되어 온 몇 분의 유학파 과학자들과 거의 무경험의 미숙한 국내 금속공학과 출신의 엔지니어들뿐이었는데 과연 이런 상태에서 POSCO 프로젝트가 국책사업으로서 타당성을 지니겠는가를 검토하는 연구였다.

POSCO 건설 프로젝트는 이미 KISA (포스코 건설을 위한 국제 consortium)에서 2여 년 간 그 타당성을 검토한 바 있는 프로젝트였는데 그들이 포항제철 건설프로젝트는 그 사업타당성이 크게 뚜렷하질 않아서 차관을 못 주겠다는 결론을 내린 1969년 초반에 박정희 대통령이 KIST로 하여금 독자적으로 검토하라는 배경에서 시작된 프로젝트였다.

이런 연구 배경에서 필자는 우선 철강플랜트의 최소 경제적 생산규모가 얼마인가를 기술연구팀으로부터 확인한 후 최소 경제적 생산규모를 갖추려면 왜소한 내수규모로 인해 어느 정도로 수출되어야 사업타당성이 있을 것인가에 연구의 초점을 맞추게 되었다. 

그래서 50~60년대에 걸친 세계철강재의 수출입자료를 가지고 소위 철강수출모형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당시 사업타당성검토와 관련한 기본정보와 아이디어가 전무했던 터라 이리저리 밤낮없이 고민하던 끝에 꿈에서 떠오른 생각이 자연법칙을 원용해 보자는 것이었다.

수출은 수입하는 나라가 있어야 한다는 생각에서 수출하는 나라에서 수입하는 나라로 얼마만큼이 수출될 것이냐에 대한 예측은 마치 물리학에서의 중력법칙(gravity law) 곧 두 물체간의 중력의 크기는 두 물체의 질량의 곱에 비례하고 두 물체간의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는 법칙을 근거로 하여 철강수출모델을 도출하고자 했다.

자연법칙을 논거로 한 연구결과는 생각보다 훨씬 더 유의적인 예측치가 얻어졌는데 이는 필자로 하여금 자신감을 갖고 POSCO 사업타당성 검토 프로젝트를 마무리할 수 있게 해주었다. 

그런데 프로젝트가 거의 마무리될 무렵 어찌 알았는지 POSCO 건설 사업타당성에 대해 미국 USX(US Steel의 철강엔지니어링을 다루는 자회사)가 찾아와 득의 찬 자세로 도움을 주겠다며 제안하는 것이었다. 

그들의 제안을 다 듣고 난 후 그들에게 우리의 작업결과와 그 방법론을 보여주었더니 ‘too academic’이라는 말 한마디 남기고는 얼굴이 벌게 가지고 도망가듯 가버렸던 게 아직도 기억에 생생하다.

아무튼 KIST의 검토 결과대로 포항 철강공장 건설(안)이 확정되고 자금 확보와 관련한 일련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드디어 POSCO는 1973년 첫 출선(出銑)의 기쁨을 온 국민에게 안겨 주면서 순항하자 KIST팀은 뒤이어 POSCO 확장계획과 제2광양제철소 건설계획을 마련하게 되었는데 이때에도 실무책임을 필자가 맡았었다.

2) POSCO 프로젝트를 끝내고 얼마 되지 않아 서울지하철 2호선 노선을 마련하는 새 프로젝트를 맡게 되었는데 이 과정에서도 같은 아이디어로 서울시내 교통량을 예측하여 노선확정(안)을 마련할 수 있었다.

그런데 이번에도 프로젝트가 거의 끝나갈 무렵에 영국의 한 컨설팅회사가 집요하게 제안 설명기회를 달라고 해서 처음에는 거부하다가 우리의 연구가 거의 끝난 상황이라 기회를 주었더니 1시간 이상 득의에 찬 설명을 하면서 우리에게 큰 유익을 줄 수 있을 것임을 강조하였다.

그런데 우리의 연구결과를 보여주자 그들도 역시 얼굴이 벌게져서 가버리는 것이었다.

그도 그럴 것이 그들이 그토록 득의에 차서 설명한 방법론이 바로 우리가 이미 사용한 중력모델이었던 때문이었다.

필자가 지금 이들을 거론하는 이유는 당시 KIST의 연구역량을 과시하려거나 탁월했음을 강조하고자함이 결코 아니다.

다만 어떤 상황에서건 자연법칙이 시회현상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경영 경제연구에 있어서도 자연법칙의 견지에서 밤낮없이 끈질기게 고민하고 고민하다보면 가야할 올바른 길이 보인다, 라는 걸 이야기하고픈 것이다.

물론 당시 우리의 연구역량은 그야말로 거의 백지상태였지만 누가 시켜서도 아닌데 자진하여 야근을 밥 먹 듯하며 일에 몰입하다보니 당시 세계적 컨설팅회사들이 인정할 정도의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고 본다.

3) KIST 설립 초부터 안정적 R&D 활동을 위해서는 연구소의 재정적 자립이 우선해야한다는 논리에 기초하여 미국 존슨대통령이 조성해 준 R&D기금이 있었는데 1973년 초반에 KIST 회계과장을 맡으며 R&D 기금관리와 연구비 관리경험을 통해서도 값진 교훈을 얻을 수 있었다.

R&D기금은 당초 장기신탁예금으로 은행에 예탁되어 있었고 그 만기가 1973년 하반기였는데 공교롭게도 그 만기 때쯤 해서 10월 중동에서 7일 전쟁이 발발했고 뒤이어 1차 오일쇼크가 터졌다.

치솟는 유가에 기금 증식(增殖)보다는 우선 기금가치를 보전(補塡)하는 문제가 더 시급한 현안으로 클로즈업 되면서 서둘러 예금을 예금, 주식, 부동산으로 3분 투자하기로 하였는데 이때 특히 주식투자와 관련하여 3여 년 간의 실무책임자로서 얻은 값진 경험은 자본시장을 구성하는 증권발행(發行)시장과 증권유통(流通)시장과의 관계에서 유통시장은 결국 발행시장을 위해 존재하는 필요악(necessary evil)은 아닌가 하는 의구심이었다.

물론 이 의구심은 주가(株價)에는 기업성과가 주로 반영되어 변동해야 하는데도 많은 경우 기업성과와는 거의 무관한 설(說)들에 의해 주가가 더 크게 요동하는 걸 보며 분명 유통시장의 상당부분은 국부(國富)증대와는 전혀 무관한 투기성에 상존한다는 인식에서 연유한 것이었다.

4) 1976년 필자는 뒤이어 한국전자통신연구소(ETRI) 설립멤버로 참여하였는데 이 연구소의 설립 동기는 당시 집값에 버금가는 전화를 대량으로 보급하기 위해 전기통신(electric communications)이 아닌 전자통신(electronic communications)이라는 혁신기술을 개발하려는 것이었다. 혁신기술을 얻기 위해 경제개발 초기에 추구했던 ‘모방에서 혁신으로(from imitation to innovation)’의 기술전략단계를 막 벗어나 ‘점진혁신에서 급진혁신으로(from incremental innovation to radical innovation)’의 전략을 구사하여 혁신기술역량을 내재화하려는 것이었다.

기본적으로 전기통신(telecommunications)은 교환, 전송, 가입자시설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교환부문에서 세계적으로 1960년대부터 전기교환기에서 전자교환기로 발전하고 있는 추세였다. 전후전쟁복구의 일환으로 독일과 영국 그리고 일본은 이미 50년대에 걸쳐 전기식으로 통신시스템을 갖추고 있었고 유독 당시 드골정부의 불란서만이 전기식이 아닌 전자식 교환기로 통신시스템을 현대화시키려는 전자교환기를 개발하고 있었는데 한국도 이에 편승하고자한 것이 우선 ETRI의 첫 과제였다. 그도 그럴 수 있었던 것은 1970년대 중반에 KIST가 전자교환기를 독자적으로 개발한 때문이었다.

ETRI가 꾸려지고 본격적인 통신연구를 시작하려 할 때 교환, 전송, 시스템의 3부문으로 나뉘어 연구조직을 갖추는데 있어서 겪었던 많은 논란은 바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와의 조화문제였다.

교환, 전송부문은 아무래도 하드웨어가 중요하다고 강조했고 시스템부문은 언제 한국이 하드웨어를 따라갈 수 있느냐며 소프트웨어 중심의 연구라야 추격(catch-up)이 조기에 이루어질 수 있다는 반대의견도 굽히질 않았는데 당시 연구업무심의회의 간사를 맡고 있던 필자는 중간에서 이들을 조정해야하는 입장에 있었다.

양쪽 모두 다 일리 있는 주장이라는 인상을 갖고 있으면서도 필자가 견지했던 입장은 해당 기술을 통해서 궁극적으로 국익의 견지에서 어느 경우의 혁신효과가 더 클 것인가, 하는 것이었다.

혁신효과의 강약의 견지에서 결국 힘이 들지만 하드웨어(hardware)가 있어야만 소프트웨어(software)도 살고 빛을 발할 것이라는 입장을 펴며 ETRI를 출범시켰고 이후 ETRI는 국직국직한 ICT기술을 개발하며 한국의 정보통신 산업발전에 크게 기여해 오고 있는 성공모델이 되었다고 평가할 수도 있다고 필자는 생각하고 있는데 이에 대해 이의를 제기할 분도 아마 있을 지도 모르겠다.

5) 1979년에 필자는 ETRI에서 한국핵연료개발공단으로 옮겨 기획관리부를 맡게 되었는데 당시 한미(韓美)간의 정치상황은 미국의 카터가 주한미군을 철수해가는 분위기였고 박정희 대통령은 이런 배경에서 자주국방을 추구하는 입장이었다.

그래서 핵연료개발공단의 출범도 이와 무관했다고는 생각되질 않았지만 그 어디에도 이를 확증해 볼만한 증거는 전혀 보이질 않았었다.

그런데 당시 필자가 맡았던 주 임무는 핵연료의 평화적 이용을 위한 것이었고 당장은 국내 월성원자로에 들어가는 핵연료를 가공하는 기술을 확보하는 것이었다.

그래서 비(非)엔지니어인 필자는 우선 기술제공사인 불란서 생고방이라는 핵 엔지니어링 회사를 통해서 세계 유수 핵연료 가공공장을 방문하게 되었다.

지금은 잘 모르겠지만 당시엔 핵연료 가공공장 방문도 수월치 않은 일이었는데도 필자는 불란서, 스웨덴, 영국, 이태리, 일본의 핵연료가공공장을 방문하여 공장의 배치(layout)을 비롯한 공장 건설과 관련한 기본정보들을 확보할 수 있었다.

그게 가능했던 것은 필자가 오히려 비 엔지니어이었던 것이 득이 되었던 때문이라고 보았는데, 그 이유인즉 당시엔 세계 어느 공장에서건 한국의 핵관련엔지니어는 아예 원천적으로 접근조차도 일체 불허하고 있던 터였던 때문이었다.

2년여 기간에 핵연료와 관련하여 필자가 겪었던 몇 건의 behind story는 이 자리에서 밝히기가 그렇지만 핵연료사업은 수요자와 공급자간의 흥정에 의한 시장논리가 아닌 철저한 공급자논리의 사업일 뿐만 아니라 대단히 정치적 사업의 under table business임을 실감할 수 있었다.

6) 1969년 이후 10여 년간 KIST,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KNFC(한국핵연료개발공단), KAERI(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정부가 주도했던 철강, 정보통신, 자동차, 전자, 에너지, 교통, 핵연료 등 중화학관련투자 사업들이 성공적으로 순항(順航)하고 있음에 대해 뿌듯함을 느끼며 1981년에 대학으로 생활터전을 바꿔 그간의 연구경험으로 바탕으로 경영학을 가르치기 시작했는데 해를 거듭해도 국내 후학들에게 전수시키는 경영학의 내용이란 것들이 미국의 대량생산체제에서 구축된 것들과 당시의 미국의 상황을 반영하고 있는 것들을 그대로 여과 없이 국내에 전수시키는 일이 반복되는 것이었다.

물론 미국이 2차세계대전후 전후복구체제를 갖추고 대량경제(mass economy)시대를 주도하고 있었으므로 어떤 의미에선 당연하다고 생각되면서도 우리로선 산업구조와 산업풍토와 그 기반이 다른 만큼은 보완해서 학생들에게 전해야 하는 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떠나질 않았다.

특히 필자가 교직을 시작한 1980년대는 디지털화혁명(digitalization revolution)이 일어나고 미소양극체제가 무너지는 대격변이 일어나던 시기였다. 소련연방은 해체의 길로 접어들고 있었고 미국은 산업구조를 비롯하여 정치, 경제, 사회, 국제질서 면에서 엄청난 전환기(crossover)를 맞고 있다고 필자에게 인식되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영학분야에서 선을 보이는 새로운 주장들의 대부분이란 것들이 1980년대 들어서면서 쇠락하는 미국의 제조업과 새로 등장하는 서비스, 유통, 금융 등 산업추세를 그대로 반영하고 있는 것들이었는데 그 중에서 가장 우리에게 문제되는 것은 기업경영의 핵심인 생산관리라는 과목이 슬그머니 사라지고 운영관리라는 과목으로 바뀌면서 서비스경영이 중요하게 클로즈업되는 분위기였다.

물론 서비스경영은 고부가가치 실현을 위해 대단히 중요할 수밖에 없지만 서비스는 어디까지나 제조업 기반위에서 전개될 때라야 소망스런 일인데도 불구하고 당시 제조업을 일본 한국 중국 등 동북아 나라들에게 빼앗기고 있던 미국의 입장만을 반영하다보니 마치 제조업대신에 서비스로 대체되는 것이 선진의 모습이며 따라서 서비스업의 산업비중이 크면 클수록 선진국으로 취급하는 등의 헷갈리게 하는 주장이 주류를 이루기에 이르렀다.

7) 1980년대 중반에 중앙행정조직인 체신부가 지금의 한국통신(KT) 전신인 한국통신공사(KTA)에서 장기발전전략을 짜달라는 프로젝트를 의뢰하여 왔는데 당시 필자는 미소양극체제의 붕괴가 정보통신산업에 어떤 충격과 영향을 줄 것인가의 관점에서 ATTACK 전략을 제시했다.

여기서 ATTACK이란 1980년대 중반부터 시작된 미·소 양극체제 붕괴가 전자통신에 줄 충격과 이에 대해 KTA가 어떻게 적응할 것이냐의 관점에서 제시한 전략으로 이는 ‘Advanced Total Telecom Advantage Creating KTA: 첨단의 유·무선통신을 통해 우위를 창출하는 KTA가 되라’는 뜻의 이니셜로 표현되는 전략슬로건이었다.

이 슬로건에 만족해하면서도 아무래도 KTA가 세계적 위상의 통신사로 발전하려면 아무래도 세계적 컨설팅사의 전략조언이 필요하다는 의미에서 칠자의 연구에 뒤이어 똑같은 프로젝트를 Harvard Business School의 Michael Porter 교수팀 Monitor Consulting사에게도 부탁하였다며 그 최종연구결과에 대해 평가해 달라는 요청받고 크게 기대가 되었었다. 그런데 포터 교수팀의 연구결과를 아무리 뜯어봐도 미소양국체제붕괴라는 환경변화가 줄 충격에 대한 게 전혀 담겨져 있지 않아 필자에게 대단한 실망감을 주었었다.

그러나 이 해프닝은 필자로 하여금 거시(macro)환경변화에 따라 어떤 기술변화(technological change)와 고객니즈진화(needs evolution)가 촉발될 것이며 이에 대해 어떻게 전략적으로 적응할 것인가의 관점에서 ‘니즈맞춤혁신(needs-focused innovation)을 추구하는 기업만이 어떤 환경변화에서든 살아남아 번성 한다’는 메시지를 담은 Dynamic Management view 라는 새로운 경영패러다임을 독자적으로 개발할 수 있게끔 해 주었다. 그리고 이를 ‘세계 산업주도권이동원리’와 ‘기업파워는 어디에서 오는가?’ 그리고 ‘Why Industrial Hegemony Shifts (Lambert Academic Publishing, 독일출판사)’ 등의 저술을 통해 기업의 흥망성쇠를 실증적으로 설명해 보임으로써 Dynamic Management view의 실무적 유용성을 확인할 수 있는 계기도 가질 수 있었다.

8) 1990년대 초반 한국주택은행(현 국민은행과 합병이전의 국책은행) 장기발전전략 연구프로젝트 책임자로서 그리고 뒤이은 3여년 이상 주택은행 사외이사로 활동하였는데 당시 정기이사회 또는 특별이사회에서 논의되는 대부분의 의결사항들을 보면 조직의 효과(effectiveness)와 효율(efficiency)을 높이는 혁신과 직결된 안건들은 대단히 희소했고 거의 대부분이 복리후생과 관련한 것들이었는데 이런 경험은 필자로 하여금 금융에도 과연 혁신효과가 존재하는가에 대하여 큰 의문을 갖게 해주었다.

물론 금융기관의 운영시스템관리에 있어서도 여타 기업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공정/관리혁신의 효과가 존재할 수 있다고 보여 졌지만 금융상품혁신에 있어서는 아주 특이한 것을 제외하곤 그 혁신효과가 과연 존재하는가, 하는 의구심이 실로 컸었다.  그도 그럴 것이 금융상품이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곤 은행마다 명칭이나 내용면에서 약간의 차이만 있을 뿐 거의대동소이하게 보여 졌기에 더욱 그러했다.

중화학산업프로젝트를 통해서 얻어진 경험과 금융부문을 접하면서 겪은 경험을 통해 세상일 중에서 상대적으로 쉬운 것은 동질적(homogeneous)인 것을 다루는 일이고 반대로 어려운 일은 이질적(heterogeneous)인 것을 다루는 일이라는 것이었다. 이 명제에 기초할 때 동질적인 것을 다루는 금융은 이질적인 것을 다루는 기술(R&D)에 비해 훨씬 수월하다는 인식이었다. 뒤집어 얘기하면 실물경제 특히 제조업(조립-부품-소재산업)에서 기술개발을 통해서 얻어지는 혁신효과는 엄청 큰데 반하여 금융경제에서의 혁신효과는 별로 크지 않다, 라는 인식이었다.

물론 이런 주장은 필자의 주관적 인식에 기초한 것이긴 하지만 그간의 경험을 통하여 기술과 금융의 특성에 대해 비교적 균형감각을 갖고 비교할 수 있었던 데서 비롯된 것이었다고 감히 생각한다.

한편 필자가 비상임이사일 때 실물경제와 금융경제와의 바람직한 관계에 대하여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었고, 세계금융의 주도세력과 그들의 행보 그리고 특히 1984년 신자유주의의 기치아래 추진된 레이건 정부의 규제완화(deregulation)가 금융업에 어떻게 작용할 것인가에 대하여 궁금증이 컸었다. 왜냐하면 규제완화 이후 재무 분야에서 위험관리(risk management)라는 미명하에 금융공학(financial engineering)이라는 신(新)용어를 들고 위험을 사고파는 희한한 돈놀이꾼들이 등장하여 금융파생상품(이는 그 자체가 본질적으로 제로섬zero-sum이므로 이 시장을 유지하는 비용만큼 사회에 부담만을 안겨주는 네거티브 섬 negative sum의 해악상품 임)을 통해 미국경제를 좌지우지하며 월가(Wall Street)를 주도하는 움직임이 심상치 않게 느껴져 ‘금융파생상품에 주목하는 이유’라든가‘금융파생상품 파국론’을 펴며 금융파생상품의 경고음을 칼럼 등을 통해 전하였지만 당시 별 주목을 받질 못하였었다.

그러나 결국 초거대화 되어가는 금융파생상품시장규모와 미국실물경제와의 불균형으로 2008년 월가붕괴가 터지자 자본주의의 종언까지를 거론하는 충격을 주었는데 엄격한 의미에서 아직까지도 그 파장은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필자는 인식하고 있다.

이런 경험을 바탕으로 필자는 지금까지도 국부창출과 이익추구는 그 어떤 경우든 니즈맞춤혁신을 추구하지 않고는 결코 오래 갈 수 없음을 한층 더 강조하고 있다.

9) 1997년 IMF 금융위기로 국내 30대 대기업(재벌)의 반(半)정도가 파산한 사건이후 김대중 노무현으로 이어지는 10년간의 반(反)기업정서 속에서도 살아남은 재벌사들이 2008 미국발 경제위기를 오히려 기회로 선방하며 산업화 성공을 견인하며 한국경제를 대도약시키는 위업을 이루는 걸 보면서 필자는 재벌구조(Chaebol Structure)의 진화논리와 기업의 지속번영원리를 보다 일반적으로 이해·설명할 수 있는 이론을 정립하고픈 강한 열망을 갖게 되었다.

특히 필자가 2000년대 들어 십수 차례 국제학술회의에 참여하여 세계석학들과의 대화가운데 대표적 관심은 한국재벌에 관한 것이었다. 한국재벌들이 어떻게 그렇게 승승장구하느냐, 어떻게 소유와 경영의 분리 대신에 재벌가에 의한 소유와 경영의 조화가 가능한가, 또 2, 3세로의 경영권 상속이 어떻게 그렇게 성공적이냐는 것이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한국재벌들의 기술연구개발의 혁신전략요체가 무엇인지를 이해시켜 달라는 것이었다.

그러던 중 2011년에 필자는 Wiley Encyclopedia of Management 3rd Edition, Strategic Management의 chief editor인 영국 Warwick Univ.의 John McGee교수(Strategic Management Society 전 회장)와 Wiley 출판사로부터 다이나믹 매니지먼트 관점에서 한국대기업(재벌구조)의 진화에 대해 집필해 달라는 청탁받고 정리한 내용을 요약하면 대강 이러하다.

“1945년 종전이후 50년대 후반부터 미국주도의 대량경제시대가 개화기를 맞고 60년대 들어 성장기를 맞는 절묘한 타이밍에 한국박정희정부가 수출지향주도의 경제개발을 착수하면서 재벌이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1970년대 들어 POSCO 철강플랜트를 시발로 중화학투자 드라이브를 진행하게 되었는데 1973년과 1979년 양차 오일 쇼크는 중동 붐을 일으키며 재벌들의 성장기반을 다지는 계기가 되었다.

그리고 1970년대 중후반에 촉발되기 시작한 디지털화혁명으로 미국의 제조업이 쇠락하는 타이밍에 재벌들은 정부의 지원에 힘입어 중화학 투자를 본격화하였는데 이는 1997년 IMF 위기 전까지 순항하는 모습이었으나 1997년 IMF위기로 국내 30개 재벌 중 약 반(13개) 재벌이 파산하는 대 충격을 받게 되었다.

그런데 아이러니컬하게도 한국경제는 IMF위기로 환율이 현실화되는 바람에 오히려 한 단계 도약하는 계기를 맞게 되었는데, 이는 IMF위기에서 살아남은 재벌들이 수출주도의 혁신효과가 큰 제조업 중심으로 갖춘 ‘사업포트폴리오(business portfolios)’ 그리고 재벌가 중심의 중앙집권의사결정에 의한 시의적절한 결단과 전문경영인중심의 분권식 실행(centralized decision-making and decentralized execution)으로 소유와 경영의 분리가 아닌 ‘소유와 경영의 조화를 추구하는 기업지배구조’가 성공 동인으로 크게 작용하였다.

요컨대 IMF 위기 때 살아남은 재벌들은 ‘제조업중심의 사업구조’와 ‘소유와 경영의 조화를 추구하는 한국형 경영스타일(Korean style management)’을 기반으로 가속화하는 기술변화와 글로벌 시장의 니즈진화에 부합하는 니즈맞춤혁신(needs-focused innovation)을 강조하는 ‘다이나믹 매니지먼트’를 펼치면서 산업화를 견인하며 한국경제를 발전시켜 올 수 있었는데 이런 배경에서 그들은 2008 미국 발 글로벌 경제위기에서도 오히려 이를 기회로 살리며 한국을 경제대국화로 견인하였다.”

이런 메시지를 담은 재벌구조의 진화를 담은 논문을 보내주었더니 수정 없이 그대로 등재키로 했다는 결정을 보내왔는데, 이는 2015년에 발간되어 현재 Wiley 경영백과사전에 실려 전 세계로 보급되고 있다.

여기서 잠깐 관심을 갖는 분들을 위해 Wiley 경영백과사전(3판)에 담긴 한국 재벌구조진화의 시대별 특징을 간략히 설명하고자한다. (물론 관심이 없거나 이미 알고 계시는 분들은 이 대목은 그냥 넘어가셔도 무방합니다.)

1960-1970년대: 재벌구조 형성기

1960년대에 등장하여 그간 한국경제를 견인해 오고 있는 기업집단인 재벌구조는 소유와 경영의 분리를 중시하는 서구의 지배구조 스타일과는 달리 오히려 창업가 집안의 소유와 전문경영인에 의한 경영으로 소유와 경영의 조화를 살린 특징을 지니고 있다.

재벌구조는 박정희 정권의 등장으로 1960년대와 1970년대에 걸쳐 형성되었는데 재벌 창시자들은 공통적으로 ‘빨리빨리’ 기질과 ‘헝그리’정신을 지닌 절대로 남에게 지기 싫어하는 기기질의 소유 기업가들이 고품질은 아니었지만 고학력의 의욕이 넘치는 인재들로 구성된 조직을 바탕으로 형성되어왔다.

초기재벌들은 정부의 적극적 지원 하에 사업보국(事業報國)의 사명감을 지니고 박정희 정권의 수출주도경제 및 산업정책을 따르면서 재벌형태의 모습을 구축해 갔는데, 이는 당시의 세계경제의 흐름과 대단히 부합하는 접근이었다.

즉, 2차 대전 종전(1945) 후 전후 복구체제를 갖춘 1950년대부터 세계경제는 미국 주도로 전례 없는 대호황의 대량경제시대(mass economy era)가 전개되고 있었는데, 이런 세계적 흐름에 기가 막힐 정도로 1960년대 정부주도의 경제개발추진과 재벌중심의 중화학산업투자는 당시의 베트남 전쟁 특수와 1970년대 양차 석유파동에 의한 중동 붐에 힘입어 한국경제가 발전기반을 구축하는 큰 기폭제가 되었고 그 주역을 재벌들이 수행할 수 있었는데 당시 초기 재벌들은 일단 재벌의 모습을 갖추면서, 당시정부주도의 국가출연연구기관의 도움을 받아가며 ‘모방에서 혁신으로(from Imitation to Innovation)’의 혁신전략을 구사하며 한국경제를 견인하기 시작했다.

1980-1990년대: 재벌구조 확대기

1980년대 들어 신자유주의(neo-liberalism)와 구제완화(deregulation)정책으로 미국의 제조 메이커들이 서비스, 유통, 금융업으로 전략행보를 취하며 제조업(manufacturing)이 붕괴되다시피 하는 상황에서 창업 1세대의 리더스타일과 기업가정신을 이어받은 2세 재벌들은 1980년대와 1990년대에 걸쳐 수평, 수직통합 전략과 관련 및 비관련 다각화 전략을 구사하며 중화학(重化學) 중심의 사업구조를 더욱 과감하게 구축하여왔다.

물론 이런 전략행보과정에서 특히 내수시장과 관련이 깊었던 재벌들을 포함하여 재벌들의‘문어발식확장’과 ‘재벌2세 세습’이 크게 정치적으로 또는 사회적으로 물의를 빚기도 하였다.

그럼에도 제조업 기반의 사업영역을 확장한 재벌들은 ‘점진혁신에서 급진혁신으로(From Incremental innovation to Radical Innovation)’의 혁신전략을 통해서 또한 다각화된 사업포트폴리오는‘ 재벌오너 CEO의 중앙집권스타일의 의사결정과 전문경영인에 의한 분권스타일의 집행(centralized decision-making by owner CEO and decentralized execution by professionals)’이라는 방식을 통해서 재벌구조의 성장확대전략을 지속할 수 있는 동인이 되었다.

1990년대 후반-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 재벌구조 개혁기

1990년대 후반 아시아 재정위기 때 IMF 사태를 맞아 재벌개혁이 불가피하게 되었는데 혁신역량이 부족하거나 전략 감각이 결여된 재벌들과 경영이 부실한 재벌을 포함하여 대기업 13개가 파산했다.
그나마 재정위기를 넘긴 재벌들은 1997년부터 이어진DJ·노무현 10년 좌파정권하에서 형성된 자유기업제도(free enterprise system)에 대한 강한 정치적 반감(反感)분위기와 비자금 편법상속 등으로 거센 사회적 도전에 직면하여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이런 어려운 속에서도 제조업기반의 재벌구조 사업포트폴리오와 환율제도의 현실화에 힘입어 한국경제가 채무국에서 채권국으로 전환하는데 크게 기여하였고 살아남은 재벌들은 재정적으로 더욱 건실해졌다.

2008 미국발 금융위기-현재: 재벌구조심화기

2008년 월가 금융위기는 글로벌 경제위기를 촉발하며 전 세계 특히 유로 존에 엄청난 충격을 주고 있는데, 이는 1985년 이래 지속되어 온 미국경제의 파행적 구조 즉, 점점 왜소화하는 실물경제와 초(超)거대화하는 금융경제(특히 금융파생상품)과의 불균형(imbalance)에서 비롯된 것임을 감안할 때, 글로벌 경제위기가 오히려 한국 재벌들에게는 사업포트폴리오 구도를 업그레이드시키며 재벌3세의 세습을 준비하는 기회가 되었다.

물론 그 배경에는 재벌들에게 금융경제 분야로 진입을 제한하고 있는 정부정책과 ‘보다 더 강화된 점진혁신에서 급진혁신으로(a more intensified ’From Incremental innovation to Radical innovation)’의 무장한 제조업기반의 사업포트폴리오를 구축하고 있는 삼성 현대자동차 LG, SK 등의 전략행보가 크게 두드러진 것으로 이해된다. 아무튼 2000년대에 들어서도 재벌들은 한국경제를 리드하며 2010년에 한국을 G20의 일원이 되게끔 하는 주역이었던 것이다.

그간 한국의 중화학산업이 성공적으로 세계 산업주도권에 접근하게 된 필자의 산업연구경험에서 얻어진 교훈 중 가장 값진 것은 일국의 국부(國富)는 사회에 유익(positive sum)을 주는 산업 특히 제조업(소재-부품-조립산업)중심의 실물경제부문에서 행해지는 니즈진화에 부합하는 혁신 곧 니즈맞춤혁신에서만 얻어진다는 인식과 서비스산업은 제조업 바탕위에서 발전해야만 경제기반의 내실을 기할 수 있다는 인식이었다.

그리고 금융은 바로 이러한 실물경제가 원활하게 돌아가도록 윤활유로서의 역할에 충실해야하며 만약 실물경제와 유리된 금융활동은 그 어떤 것이든 결국 거품만 키운다는 인식이었다.

기업(사업)성공의 요체는 혁신이며 혁신이 제대로 소기의 성과를 내려면 개인레벨에게 ‘니즈맞춤혁신에 충실 하라’는 단순 룰(simple rule)을 주고 최대한의 자유를 허용해 주면 전체집단레벨에서 고차원의 질서가 창발(emergence)되는 자기조직화(self-organizing)의 질서가 자연계 안에 엄존한다는 인식이며, 이런 자연 질서에 기초하고 있는 자유시장경제원리가 존중될 때라야 기업들이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며 사회를 풍요롭게 한다는 인식이었다.

그래서 니즈맞춤혁신역량이 있는 산업에서는 기업의 혁신역량이 제대로 발휘하도록 최대한의 자유를 허용해주는 자유방임(laissez faire)의 정책을 펴고, 니즈맞춤혁신역량이 결여된 산업에서는 혁신역량을 조장 강화 심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개발지원정책을 펴야 한다는 메시지였다.

한국 재벌구조의 형성과 진화과정에서 특기할만한 사항은 기업의 혁신력 강화를 위한 시의적절한 정부의 산업정책과 니즈맞춤혁신에 충실한 대기업(재벌)들이 지난 50여 년 간, 비록 김대중 노무현 좌파 10년의 반(反)기업정서의 질곡의 기간도 있긴 했지만, 그래도 박정희시대부터 이명박과 박근혜 정부에 이르기까지 비교적 자유시장경제체제하에서 자유롭게 자기책임 하에 세계경제의 흐름과 세계경쟁구도에 맞추어 수출지향의 세계경영을 추구하면서 산업화를 성공적으로 이끌 수 있었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 재벌들은 글로벌 시장에서의 니즈진화에 발맞춰 글로벌 고객들로 하여금 지불의향을 갖게끔 하는 제품/서비스를 니즈맞춤혁신을 통해 제때 적가로 개발 생산 제공하는 다이나믹 매니지먼트 이론(Dynamic Management View)를 펼치면서 100위권 밖의 대한민국을 반세기동안에 산업화를 통해 세계 상위 5-7위 수준의 경제대국으로 성장 발전시켜 왔던 것이다. (여기서 독자는 니즈맞춤혁신역량의 강화보다는 일탈행위를 일삼다 결국 도태되거나 파산한 재벌이나 재벌가까지도 필자가 두둔하는 것이 아님을 알아주시기 바랍니다.)

필자는 이런 인식과 배경 하에서 문재인 정부의 출범과 더불어 한국의 대기업(재벌)들이 과연 공신(功臣)인가 공적(公敵)인가를 자문(自問)하며, 산업화 성공을 이끌며 경제대국화의 위업을 이뤄 온 대기업(재벌)들이야말로 온 국민들로부터 정성어린 큰 박수와 격려를 받아 마땅하다고 자답(自答)한다.

<김인호(金寅鎬) 한양대 명예교수, Dynamic Management Society 회장>

▲ 김인호(金寅鎬) (한양대 명예교수, Dynamic Management Society 회장) ⓒ뉴스타운

지난 50여 년간의 대한민국 산업화 경험을 이론화한 Dynamic Management View 이론의 주창자. Dynamic Management View 이론과 실용방법은 현재 중국 북경대와 천진 난까이(Nankai) 경영대 석・박사과정에서 정규과목으로 채택하고 있으며, Dynamic Management View관점의 한국대기업(Chaebol Structure) 진화논리가 세계유수출판사인 Wiley 경영백과사전 (3판, 2015)에 실려 전 세계로 보급중임.

주요논문으로는 Dynamic Management View: Logic of Profit Seeking based on the Adaptation to Technological change and Needs Evolution through Needs-Focused Innovation, Technology Analysis & Strategic Management (SSCI, Jan. 2017) 있으며, 이에 대한 중국어버전이 칭화대 요청으로 현재 Tsinghua Business Review에 실려 중국어권 전역으로 보급 확산될 일정임.

저서로는 Dynamic Enterprise Strategy (Peking Univ. Press, 2013), Why Industrial Hegemony Shifts (Lambert Academy Publishing, 2010), Dynamic Management Theory (Hanyang Univ. Press, 2008), 다이나믹 매니지먼트과 기업일반이론 (비봉출판사, 우수학술도서), 세계 산업주도권 이동원리(한국경제신문사, 1995), 기업파워는 어디에서 오는가? (한국경제신문사, 제7회 전경련 자유경제출판문화상, 1996) 등이 있음.

<약력/경력>

⦁서울고/서울상대/서울대 대학원 경영학석사

⦁미Syracuse대수학/인하대 경영학박사

⦁한양대 교수/연구소장/학장/대학원장//명예교수

⦁삼성자동차 비상임감사

⦁한국주택은행 비상임이사

⦁한국핵연료개발공단 기획관리부장

⦁ETRI 통신경제연구실장/기획실장

⦁KIST 기획실장/회계과장/선임연구원

⦁공군중위

⦁KT/POSCO/LG/SK/KPC/KOGAS 경영자문위원

■ 저서/논문

・ Why Industrial Hegemony Shifts (Lambert Academic Publishing)

・ 金寅镐, 路江涌, 武亚军合著《动态战略视角》(중국 Peking Univ. 출판사)

・ Dynamic Management Theory (한양대 출판부)

・ 산업주도권이동원리; 기업파워는 어디에서 오는가(한국경제신문) 등 20여권

・ Dynamic management view: logic of profit seeking, Technology Analysis & Strategic Management (SSCI)등 해외논문 20여편/국내논문 80여편

■ 국제 활동

국제세미나: 중국 칭와대, 북경대, 난까이대, 연변과기대, 몽고 국제대, 홍콩대, 홍콩중문대,

일본 JAIST 등

국제회의: 베트남 Ministry of Planning & Investment(과거 EPB에 해당)의 중견/고급관료

대상 국제심포지엄 Key Presenter (2015. Nov. 18)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산 2017-08-02 16:15:46
아인슈타인의 이론을 뒤집는 새로운 이론을 제시하면서 그 이론에 반론하면 5천만 원의 상금을 주겠다는 책(제목; 과학의 재발견)이 나왔는데 아무도 반론을 못하고 있다. 이 책에 반론하지 못하는 과학자들은 새 이론을 겸허히 수용하고 기자들도 실상을 보도하라! 이 책은 중력과 전자기력을 하나로 융합한 통일장이론으로 우주의 원리와 생명의 본질을 설명하면서 서양과학으로 동양철학(이기일원론과 무아연기론)을 증명했다
메인페이지가 로드 됐습니다.
가장많이본 기사
뉴타TV 포토뉴스
연재코너  
오피니언  
지역뉴스
공지사항
동영상뉴스
손상윤의 나사랑과 정의를···
  • 서울특별시 노원구 동일로174길 7, 101호(서울시 노원구 공릉동 617-18 천호빌딩 101호)
  • 대표전화 : 02-978-4001
  • 팩스 : 02-978-8307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종민
  • 법인명 : 주식회사 뉴스타운
  • 제호 : 뉴스타운
  • 정기간행물 · 등록번호 : 서울 아 00010 호
  • 등록일 : 2005-08-08(창간일:2000-01-10)
  • 발행일 : 2000-01-10
  • 발행인/편집인 : 손윤희
  • 뉴스타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뉴스타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newstowncop@gmail.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