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산주의와 파시즘의 공통점을 간파한 빌헬름 뢰프케
스크롤 이동 상태바
공산주의와 파시즘의 공통점을 간파한 빌헬름 뢰프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자유주의 사상가 列傳 (6)

 
   
  ▲ 빌헬름 뢰프케  
 

『대중사회와 대중민주주의는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그것들의 최종적인 형태는 전체주의』

● 제1차 세계대전 참전해 철십자 훈장 받아, 25세 때 독일 역사상 최연소 대학교수가 됨

● 나치 집권 후 해직교수 1호, 터키를 거쳐 스위스로 망명

● 제2차 세계대전 終戰 前 『유럽의 의도적 분할을 통해 소련의 영향력 확대를 막아야만 한다』고 주장, 1960년대에는 『30년內에 공산주의 붕괴』 예견

● 『私有재산, 경제적 자유, 상속 등이 흔들리는 사회는 자유사회로서의 종말을 눈앞에 두고 있는 위험한 상태』

● 『공산주의자들과의 교류는 공산주의의 핵심인사들과 西方의 줏대 없는 공상가와 환상가들 간의 교류가 되기 십상』

● 『국가의 後見을 받는 사람들의 범주를 자꾸만 확대하는 것이 진정한 進步인가? 아니면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소득을 바탕으로 자유롭고 성숙한 인간으로서 자신의 책임下에 자신의 삶을 건설하도록 하고, 그에 따라 복지국가를 점차 축소시켜 나가는 것이 진정한 進步인가?』

『자기 책임下에 스스로의 삶을 건설하는 것이 진정한 進步』

『산업사회로 넘어오던 과도기에는 공장근로자들이 대부분 無産者(무산자)로서 생활이 너무 빈궁하여 삶의 위험에 스스로 대비할 수 있는 여유가 없었다.

이런 상황에서 이들을 돕던 人工義手(인공의수)나 人工義足(인공의족)과 같은 비상수단이 바로 국가에 의해 조직화한 대중보호였다.

그러나 현대 복지국가에서 시행되는 국가에 의한 대중보호는 이미 그 한계를 벗어났다. 왜냐하면 경제적으로 발전된 현대국가에서 그러한 과도기적 상황은 이미 극복이 되었으며, 자발적인 자기 책임下의 자기 보호 내지 소규모 그룹부조의 가능성이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잘 발달되어 있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오늘날에는 이미 거의 다 극복된, 과거 과도기에서 도출된 복지국가 원래의 기능과 의미를 「進步(진보)」라고 부른다. 만일 우리가 인간에 대해 조금만 주의를 기울여 생각해 본다면, 그들이 말하는 것은 進步가 아니다.

그와는 정반대로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자기 자신의 힘으로, 자기 자신의 저축과 보험을 통해 자신의 책임下에 또는 다양한 종류의 자발적인 그룹부조를 통해 삶의 위험에 대한 대비를 할 수 있도록 하는가에 進步의 진정한 뜻이 있다. 인간으로 하여금 계속해서 국가와 정부의 도움을 바라보면서 살아가도록 함으로써 결국에는 납세자들의 호주머니에서 나오는 돈에 寄生(기생)하면서 살아가도록 만들기보다는 자신의 삶을 스스로 건설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진정 자유롭고 성숙한 인간에 대한 존중이 아니겠는가?

국가라고 하는 거대한 後見人(후견인)의 후견을 받는 사람들의 범주를 자꾸만 확대하는 것이 진정한 進步인가? 아니면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자신들의 소득을 바탕으로 자유롭고 성숙한 인간으로서 자신의 책임下에 자신의 삶을 건설하도록 하고, 그에 따라 복지국가를 점차 축소시켜 나가는 것이 진정한 進步인가?』

평생을 不義(불의)와 不自由(부자유), 집단주의, 통제주의에 꼿꼿하고도 용감하게 저항하였고, 死後(사후)에는 『異物質(이물질)이 전혀 섞이지 않은 순수한 물과 같은 자유주의자였다』는 평가를 받는 빌헬름 뢰프케(Wilhelm Roepke)가 「사이비 혹은 자칭 진보주의자들」에게 보내는 메시지이다.

뢰프케는 1899년 10월10일 독일 북부지역 하노버의 슈바름스테트에서 지역민들의 존경을 받는 시골 의사의 아들로 태어났다.

뢰프케는 제1차 세계대전 당시 18세에 입대, 전투 중 부상당해 철십자 훈장을 받고 전역했다. 그 후 괴팅겐 대학, 튀빙겐 대학을 거쳐 1919년부터는 마부르크 대학에서 경제학과 법학을 공부했다. 1921년 마부르크 대학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취득한 뢰프케는 이듬해 23세의 나이로 대학교수자격을 획득했다. 25세 때인 1924년 뢰프케는 예나 대학교의 교수가 되었다.

독일 역사상 최연소 교수였다. 뢰프케는 5년 후인 1929년 母校인 마부르크 대학으로 자리를 옮겨 1933년 해외로 망명할 때까지 경제학과 교수로 재직했다.

뢰프케보다 먼저 나치의 위험에 대해 알아차린 사람은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는 나치가 집권하기 전에 이미 나치가 독일에 엄청난 재앙이 될 것이라고 내다보면서 강연이나 신문촵잡지 기고를 통해 나치에 대한 격렬한 비판을 가했다.

1930년 선거가 실시되자 자신의 고향인 니더작센에서 「니더작센의 아들이 주민들에게 드리는 글」을 통해 나치주의자들에 대한 저항운동을 펼칠 것을 호소했다.

『이번에 나치를 뽑는 사람들은 나중에 가서 「나치가 어떠한 것이었는지 우리가 어떻게 事前에 알 수 있었겠느냐」는 말로 책임을 피해 갈 수 없을 것입니다. 분명히 말씀드리지만 나치를 뽑는 것은 질서 대신 혼돈을, 건설 대신 파괴를 선택하는 행위입니다』

뢰프케는 울리히 운프리드(Ulrich Unfried)라는 筆名(필명)을 사용했다. 운프리드는 프리드(Fried)의 반대말로 당시 나치에 적극 협력하고 있던 저술가 페르디난드 프리드(Ferdinand Fried)에 정면으로 반대한다는 의미에서 운프리드를 사용한 것이었다. 뢰프케는 『나치는 자유의 파괴자이며, 프리드와 같이 나치에 협력하는 지식인들은 「知識 社會主義」(지식사회주의: ellektuellensozialismus)의 대표자들이다』라고 비판했다.

나치에 의한 해직교수 1호

1933년 나치가 집권하자 뢰프케는 교수직을 박탈당했다. 나치가 소위 「직업공무원 제도 개선을 위한 법률」을 만들어 反나치 교수들을 해직시킬 때, 해직교수 명단에 제일 먼저 오른 사람도 뢰프케였다.

그의 知人(지인)들은 생계와 복직을 위해 나치와 타협할 것을 권했지만, 뢰프케는 이를 단호하게 거부했다.

나치에 대한 저항도 저항이었지만 유대인인 그가 더 이상 독일에 머무르는 것은 곧 죽음을 의미했다. 뢰프케는 1933년 10월, 동료 해직교수들과 함께 터키로 망명길에 올랐다.

뢰프케 등이 터키로 망명할 수 있었던 것은 터키의 케말 파샤 대통령으로부터 터키의 고등교육, 특히 이스탄불大 재건 책임을 일임받은 제네바大 교수 말체 덕분이었다. 말체 교수는 獨逸非常學者協會(독일비상학자협회)를 통해 나치의 박해를 받고 있는 교수들의 명단을 입수, 그들 중 상당수를 이스탄불大 교수로 영입했던 것이다.

일체의 통제주의, 자급자족주의, 財政膨脹主義(재정팽창주의)에 비판적이던 뢰프케는 당시 터키의 집권당이던 통일당의 국가개입주의적 정책에 대해서도 비판을 마다하지 않았다. 하지만 뢰프케의 명성과 업적을 높이 평가하고 있던 터키 정부는 정부정책에 비판적이라는 이유로 학문과 강의의 자유를 억압하지는 않았다.

1937년 뢰프케는 스위스 제네바에 있는 국제관계대학원 교수로 자리를 옮겼다. 그는 1966년 2월12일 사망할 때까지 그곳에서 생활했다.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母校인 마부르크大에서 복귀제안이 있었지만, 이미 스위스에서 자리잡고 있었던 뢰프케는 오랜 고민 끝에 그 제안을 거절했다.

사람들은 왜 집단주의자가 되는가

공산주의와 나치즘은, 19세기 이후 나타난 대중사회의 病的인 모습인 「집단주의」가 극단적으로 진행된 형태라는 점에서 공통점을 갖는다.

뢰프케에 있어 「집단주의」란 「자유경쟁원칙을 배제시키는 것 그 자체」를 의미한다. 자원의 배분과 생산계획을 해결하는 방법에는 기본적으로 두 가지가 있을 뿐이다. 시장에서의 수요·공급과 경쟁에 기반을 둔 가격결정 메커니즘에 의해 자유롭게 결정되는 「시장경제」와 독재적인 당국의 강제적인 지시와 명령에 의해 결정되는 「집단주의 경제」가 그것이다.

「시장경제 체제」는 각각의 이해에 따라 의사결정을 하고 자율적으로 자신의 選好(선호)를 표시할 수 있는 독립적인 경제주체들을 전제로 하며, 근본적으로 개인의 권리를 존중하는 자유로운 사회구조에 속하는 체제이다.

반면에 「집단주의」는 국가의 지배력을 통해 「국가적인 대중보호」라는 원칙을 보장하기 위해 分權的이고 자율적인 의사결정을 부정하고, 그 자리를 집단적 의사결정으로, 최종적으로는 국가적인 제도로 대체해 버린다. 결국 집단주의는 개인의 권리가 무시되고 少數가 多數를 지배하는 反민주적인 경제체제나 다름 없다.

뢰프케는 집단주의자가 되는 동기 또는 집단주의를 선호하는 이유를 다섯 가지로 구분했다.

첫째, 순전히 개인적 이익 때문에 집단주의를 선호하는 사람들이다. 집단주의 下에서 재산과 소득이 강제로 분배될 때 이로부터 이득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는 사람들이 이 부류에 속한다.

둘째, 권력에 대한 야망이다. 대중들을 자신의 의지 아래에 묶어 두고, 자신의 권력욕을 충족시키기 위해 이들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여기에 포함된다.

셋째, 주로 과학주의와 기술만능주의에 물든 지식인들의 「知的 교만」에서 비롯된 집단주의 경향이다. 이 부류의 사람들은 「정신적·도덕적 개체」로서의 인간을 무자비하게 무시한다. 또 인간과 사회의 가치와 문제들, 그리고 이들 간의 상호관계들에 대해서는 거의 아무것도 알지 못한 채, 사회와 인간을 기계와 동일시하면서, 사회도 理性에 의한 계획에 입각하여 합리적으로 조직하고 개조할 수 있다고 본다.

뢰프케는 이러한 과학주의의 최후 결과는 무자비하고 非인간화된 무겁고 음산한 집단주의 세계라고 보았다.

넷째, 美學的 또는 예술적 동기에 이끌려 집단주의자가 되는 경우이다. 이들은 자신들이 그려 본 이상적인 사회계획의 아름다움에 스스로 이끌려 집단주의를 동경하는 사람들이다.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집단주의자 그룹인 다섯 번째 유형은 人本主義的 동기를 가진 집단주의자들이다. 이들은 人本主義와 평등, 정의에서 출발하여 현실사회에서 나타나는 非인간성과 不평등, 不義를 제거해야 한다는 정의감에서 집단주의자가 되는 경우이다.

집단주의의 문제점

뢰프케는 『그들이 나름대로 고매한 理想을 갖고 있다는 점은 인정되지만, 이들의 생각은 인간의 理性 및 경험과 배치되며, 집단주의는 결코 代案이 될 수 없다』고 비판한다.

뢰프케가 보는 집단주의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우선 집단주의에서는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는 시장가격 기구를 인간의 두뇌에 의존한 계획으로 대체하고자 하지만, 현실은 상상 이상으로 너무나 복잡하다. 결국 집단주의 경제를 원활히 운영하기 위해서는 경제를 계획하고 운영하는 사람이 대단히 도덕적일 뿐만 아니라 지능도 無限한 천사가 되어야만 하는데,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좀더 근본적인 문제로 경제문제의 효율적인 해결을 위해서는 「긴급성과 중요성이라 고 하는 기준에 따른 욕구의 선발」과 이에 따른 가격평가가 이루어져야 하며, 여기에는 인간의 주관적인 가치가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를 무시한 채 중앙집권적 국가의 계획을 통해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은 이미 실패를 예약해 놓은 것과 같다.

경쟁의 不在(부재)와 동기유발의 부족으로 인한 효율성의 저하도 집단주의의 치명적인 문제점 가운데 하나다.

집단주의 경제에서는 자원을 강제적으로 배분하고, 또 경쟁의 不在와 동기유발 부족들로 인해 필연적으로 나타나는 계획과 成果 간의 간극을 좁히기 위해 강압적인 정치권력의 등장이 불가피해진다. 이로 인해 국가권력의 횡포가 발생하고, 지배자와 피지배자 간의 구분이 명확하게 나타난다.

결론적으로 뢰프케는 「집단주의는 정치·경제·사회 모든 면에서 폭군, 분열, 중앙집중, 전제군주적인 조직화, 개성의 파괴, 전체주의, 非효율 및 인간사회의 경직된 기계화를 가져오며, 시스템의 내재적인 치명적 문제로 인해 결국 종말을 고할 수밖에 없다」고 확신했다.

이러한 분석과 확신을 기반으로 뢰프케는 공산주의 체제의 붕괴를 1960년대 초에 저술한 「인본적 경제학」에서 정확하게 그 시기까지 예언했다.

『스탈린의 죽음 이후 위성국가뿐만 아니라 러시아 자체에서 일어나고 있는 최근의 일련의 사태들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파악해 보면 교리, 신앙 및 사람을 끌어당기는 매력으로서의 공산주의가 총체적으로 붕괴되고 있다고 하기에는 아직 이르다. 하지만 적어도 공산주의가 이미 해체과정에 들어서 있다는 점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으며, 약 30년 안에 결국 종말을 고하게 될 것이라는 우리의 희망이 전혀 근거 없는 것이 아님도 분명하다』

戰後 유럽의 분열과 사회주의의 붕괴 예언

뢰프케는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기 전에도 당시 연합국이던 미국과 소련의 관계가 戰後에 어떻게 바뀌고, 유럽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지를 분명하게 예견함으로써 그의 탁월한 통찰력을 보여 준 바 있었다.

1945년 독일의 패전이 거의 확실해지는 무렵 뢰프케는 「독일문제」라는 책을 발표했다. 이 책에서 뢰프케는 『독일이 항복하자마자 승전국들 사이에는 커다란 의견 차이가 생길 것이며, 全유럽에 대한 소련의 지배요구가 분명히 그 모습을 드러낼 것』이라고 경고하면서 『이때 西유럽이 자유를 누리며 살 수 있는 기회는 단 한 가지밖에 없다. 독일을 세로로 가로지르는 線을 긋고 그 오른편의 東유럽을 기독교적·서구적인 유럽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유럽의 의도적 분할을 통해 소련의 영향력 확대를 막아야만 한다』고 주장했다.

뢰프케의 이러한 예견은 곧 수많은 언어로 번역되었고, 유럽에서 미국의 장기적 역할에 대한 정책수립에 많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뢰프케는 공산주의의 붕괴라는 분석을 내놓는 것에 그치지 않았다. 그는 한 걸음 나아가 공산주의 붕괴에 대한 지나친 낙관론을 경계하고 자유세계의 정당성 확보를 위한 노력을 가일층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개성의 주체로서의 위치를 상실하고 대중 속에 매몰된 채 정신적 고향을 잃고 도덕적으로 난파되어 버린 현대 대중사회의 인간은 寬容(관용)이라고는 전혀 찾아볼수 없는 정치적촵사회적 이데올로기에서 그 代案을 찾고 있으며, 이 이데올로기의 선두에 서 있는 것은 다름 아닌 사회주의, 공산주의 그리고 민족주의라고 지적했다.

『공산주의자들과의 교류는 결국 惡을 연장시켜줄 뿐』

뢰프케는 이러한 대체종교로서의 공산주의가 스스로 내부로부터 붕괴될 것이라는 전망이 공산주의에 대한 우리 자신들의 비겁함, 두려움 그리고 심리적 혼란을 미화하고 공산주의에 적극적으로 대항해야 하는 자신의 책무를 다하지 못하는 죄책감을 덜어 주는 하나의 면죄부로 誤用되는 치명적인 실수를 저지르지 말 것을 당부한다.

『이러한 희망이 자칫 잘못 이해되어 공산주의에 대한 확고하고도 단호한 거부와 감시 및 경계가 소홀해지고, 그 대신 경솔함, 비겁함 및 심리적 혼돈을 초래하여 공산주의와 共存의 유혹에 빠지는 愚(우)를 범해서는 안 된다. 오히려 공산주의 몰락에 대한 기대는 오랫동안 무시되고 잊혀져 왔던 자유세계의 정당성에 대한 신념과 용기를 되살리는 방향으로 적극 활용돼야 한다』

뢰프케에 따르면 공산주의는 테러와 詐欺(사기)로 구성된 시스템을 통해 개성과 자기 이익의 추구라고 하는 인간본성의 核(핵)을 파괴하고, 그 대신에 집단적인 국가, 집단적인 거대경제, 집단적인 거대사회에 매몰되도록 하는 절대 불가능한 「인간개조」라는 엄청난 오류를 저질렀던 것이며, 따라서 실패할 수밖에 없었다. 「인간개조」가 가능하다는 것이 공산주의의 일관된 중심 테제(These)였으며, 이것이야말로 공산주의의 가장 흉악하고 위협적이며 反인본주의적 교리이다.

그런데 非공산권 국가에 사는 사람들 중에서도 이 교리를 共有하고 있는 자들이 있다. 공산주의에 현혹된 우둔한 자들과 공산주의 세력에 잔뜩 겁을 집어먹은 겁쟁이들이 바로 그들이다. 뢰프케는 『이들은 자신들이 하는 일이 인간의 본성에서 우러나오는 기독교적·인본주의적 신념을 배반하고 있다는 사실조차 깨닫지 못하고 있다』고 개탄했다.

뢰프케는 공산주의자들과의 화해협력과 교류가 의도한 바와는 달리 공산국가의 집권세력들에 의해 정치적으로 이용당할 수 있다는 점을 경계했다. 그는 『「공산주의라고 하는 얼음을 녹여 개방으로 이끈다」는 명목으로, 혹은 「전체주의에 대항하는 자유세계의 저항력을 강화한다」는 명목으로 학생·예술가·교수 및 정치인들을 초청하거나 보내면서 공산주의자들과 교류하는 것보다 더 순진한 짓은 없다』고 우려했다.

『그러한 교류는 통상적으로 공산주의의 핵심인사들이 참여하고 여기에 西方의 줏대 없는 공상가와 환상가들이 동참하는 교류가 되기 십상이며, 이를 통해 공산주의 폭압자들의 내부 권력은 강화되는 반면 자유세계의 저항력은 약화시켜 결국은 공산주의라고 하는 害惡을 연장시키는 역할만을 한다. 이러한 잘못된 낙관주의는 의도는 善하지만 결과적으로는 惡을 연장시켜줄 뿐이다』

『私有재산, 경제적 자유가 흔들리는 것은 자유사회의 종말』

토크빌은 「미국 민주주의론」에서 『평등을 중시하는 민주주의는 새로운 형태의 전제정치로 발전될 수 있다』고 말했다.

뢰프케도 『대중사회와 대중민주주의는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그것들의 최종적인 형태는 전체주의』라고 밝혔다. 그는 『현대 대중사회에 들어오면서 자유민주주의가 쇠퇴하고 대신 자코뱅(Jacobian)式의 대중민주주의가 점점 더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면서 그 위험성을 경고했다.

「자유민주주의」는 개인의 자유를 지향한다는 점에서 자유주의적이며, 동시에 정부가 被지배자의 동의에 따라야 한다는 점에서 민주적이다. 이러한 「자유민주주의」야말로 자유의 원천인 반면 「대중민주주의」는 자유의 최종적인 붕괴를 의미한다고 뢰프케는 평가했다. 그 이유는 「대중민주주의」의 인민主權이 다수결에 의해 전체주의 정부를 구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 주는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나치의 히틀러도 선거를 통해 권좌에 오를 수 있었다는 사실을 상기해 볼 때 뢰프케의 우려가 杞憂(기우)만은 아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그러한 역사적 오류를 되풀이하지 않고 자유와 민주주의가 양립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뢰프케는 어떤 궁극적인 규범과 원칙들이 있으며, 이 원칙들이 그어떠한 민주적 결정에 의해서도 훼손되지 않는 경우에만 민주주의와 자유는 양립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 대중민주주의는 필연적으로 사회주의적·전체주의적 경향을 띠게 된다고 보았다.

뢰프케는 私有재산이나 경제의 자유, 상속 등을, 결코 훼손되어서는 안 되는 근본적인 제도들로 꼽으면서, 이것이 흔들리는 사회는 자유사회로서의 종말을 눈앞에 두고 있는 위험한 상태라고 진단하고 있다.

『만일 私有재산이 행정부의 恣意(자의)에 의해서나 아니면 선거에 의해 불안정하고 불확실해지면, 또 만일 그것이 재산을 조금밖에 갖지 못한 사람들의 人質(인질)이 되어 버리면, 또 만일 私有재산 및 그것과 불가분의 관련을 갖는 상속권이 더 이상의 어떠한 정당화의 필요도 없는 너무나 당연한 근본적인 권리로서의 위치가 흔들리게 된다면 자유사회의 終焉(종언)이 눈에 보인다』

뢰프케는 『이러한 근본적인 제도와 원칙들이 결코 훼손될 수 없다는 鐵則(철칙)을 제거하고 투표를 통한 결정에 그 운명을 맡겨 버리자고 하는 사람은 자유민주주의의 前提(전제)를 파괴함으로써 민주주의를 파기하고, 그것을 혁명, 특히 영구혁명의 수단으로 만드는 자』라고 비판했다. 뢰프케는 『사회적 근본과 뿌리, 근본철칙, 역사적으로 형성된 것 등 확고한 것은 아무것도 존재할 수 없도록 만들면서 항상 모든 것에 대해 새롭게 문제를 제기하는 현대 대중사회의 이러한 「정신적 급진주의」는 순간적인 오락과 쾌락, 천박한 것을 대대적으로 선전하고 거창한 말솜씨로 잘 치장하는 지도자에게 힘을 실어 주며, 이렇게 해서 현대 대중민주주의는 혁명적 사회종교의 토양이 된다』고 보았다.

윤리의 이름으로 자유로운 경제의 흐름을 막는「도덕주의」不信

뢰프케는 『현대국가의 과도한 사회보장제도와 정부의 경제개입 등 집단주의적 행태가 사회주의나 공산주의보다 더 위험하다』고 비판한다. 왜냐하면 이러한 것들은 사회주의나 공산주의처럼 그 집단주의적 요소를 명백하게 드러내지 않고 서서히 진행되어 그 위험성이 두드러지지 않기 때문이다. 개구리를 끓는 물에 집어 넣으면 순간적으로 튀어나와 목숨을 건지지만, 미지근한 물에 집어 넣고 서서히 끓이면 자신이 죽어 가는 것도 모른 채 숨을 거둘 때까지 계속 그곳에 머물러 있는 현상과도 같다. 뢰프케는 『우리들이 진정으로 두려워해야 하는 것은 인플레처럼 점진적으로 차근차근 은밀히 진행되는 과정』이라고 말했다.

이 과정을 통해 안전과 편안함이 자유·법·개성보다 더 높은 평가를 받고, 자유라는 이름 아래 방종, 개인 및 집단이기주의, 전통의 파괴, 자의와 태만 그리고 무제한의 요구가 빈번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개인의 의미는 축소되고, 반대로 대중과 집단의 의미는 점점 증대된다. 이에 따라 의사결정의 중심점도 개인, 가족, 소집단으로부터 위로 이동하여 국가기관으로 이전된다.

뢰프케는 『강대한 권한을 차지하게 되는 정부와 정치권력은 곧 부패하여 신뢰를 상실하고, 원칙과 근본을 무시한 채 선동과 집단이기주의의 압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 순간을 모면하는 방법만을 찾아 내는 일종의 「예술가」가 되어 버렸다』고 꼬집었다.

이런 점에서 그는 도덕과 윤리의 이름으로 자유로운 경제의 흐름을 막는 「도덕주의」를 전혀 신뢰하지 않았다. 왜냐하면 그것은 생산하는 능력을 통해 자신의 존재를 확인하고 개발하며, 도덕적이라 생각되는 행동을 하고자 하는 개인의 노력을 억제하고, 반대로 국가권력을 동원하는 것을 선호하기 때문이다.

뢰프케는 『도덕주의가 암묵적이든 공개적이든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자 하는 의도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자신의 욕망에 대해서는 일체의 의심도 품지 않는 지식인들에 의해 주창된다면 더더욱 고려해 볼 가치조차 없다』고 보았다.

『오늘날 복지국가는 사회혁명의 수단으로 전락』

뢰프케는 과도하게 추진되는 복지국가에서 나타나는 집단적 특성을, 한 영국 사회비평가의 표현을 빌어 「용돈국가(Pocket-money State)」라고 불렀다. 「용돈국가」란 사람들로부터 그들이 스스로 사용할 수 있는 可處分(가처분) 소득의 상당 부분을 세금과 사회보험료 등을 통해 국가가 차지해 버리고, 그 대신 교육·의료·주택·식품 등 중요한 욕구들을 국가가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보장해 줌으로써, 개인들에게는 사소한 몇 가지를 할 수 있을 정도의 몇 푼 되지 않는 용돈만이 남겨지는 것을 뜻한다. 복지국가가 비교적 잘 발달됐다는 西歐유럽의 경우 소득의 약 50% 이상을 정부가 차지하
고 있는 현실을 볼 때 그리 과장된 표현만은 아니라고 본다.

뢰프케는 『오늘날의 복지국가는 단순히 재래의 급여 크기와 범주를 확대하는 일에 머무르지 않고, 하나의 사회혁명 도구로 전락했다』는 점을 특히 강조했다.

이 사회혁명의 목적은 소득과 재산의 좀더 완전한 均等化를 이루는 것으로 이를 추진하는 지배적인 동기는 시기와 질투이다. 사회와 경제가 발전하면서 정말로 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의 수와 범주가 줄어들게 되면 복지국가를 주장하는 사회혁명가들은 가진 자들의 재산을 평균수준으로 끌어내리려는 사회적 증오심을 만족시키는 압력을 소위 「도덕과 윤리」라는 상투어를 동원하여 美化시키고 정당화시킬 수 있는 무언가 새로운 영역을 끊임없이 발견해 낸다.

일반 국민들은 여전히 재래의 사회복지 카테고리들을 생각하지만, 이 모든 것들은 이미 무대 뒤로 사라졌으며, 소득·자산·능력 등을 평균수준으로 균등화시키려는 새로운 戰場(전장)이 형성된다. 그 어떤 사소한 것이라도 차이가 있게 되면 사회적 증오가 발발하므로 모든 것이 균등하게 되기 전에는 이 사회혁명은 아직 달성된 것이 아니며, 투쟁은 계속될 수밖에 없다.

국가에 대해 무언가를 요구하는 것은 알고 보면 他人의 돈, 他人의 구매력을 내놓으라고 하는 간접적인 요구나 다름없다. 뢰프케는 『이 간단한 이치가 복지국가라는 미명하에 어떻게 그렇게도 오랫동안 감춰질 수 있었는지 경이롭다』고 비꼬았다. 그는 『복지국가는 의사결정과 생활의 중심 축을 인간으로부터 국가로, 인간성으로 충만한 진정한 공동체로부터 非인간적인 관료제 및 대중조직으로 전환시키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복지국가는 브레이크 없는 車

따라서 국가에 의해 조직된 대중적 안전을 최소화하고, 인간 중심의 진정한 공동체를 복원시키는 일이 불가결하다. 하지만 현대의 대중민주주의, 급증하는 평등추구 요구, 그리고 거의 일상이 되다시피 선거를 통해 他人의 것을 강탈할 수 있게 된 현대 대중사회에서 그것이 제대로 이루어질 가능성은 거의 희박하다.

오히려 우리 사회의 건강성과 경제시스템의 활력을 위협할 정도로 복지국가가 과도하게 확대될 가능성은 매우 크다. 왜냐하면 복지국가의 확장은 매력적으로 보여 저항은커녕 환영을 받으며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일단 확대된 것을 축소하는 일은 정치적으로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복지국가에 빌붙어 기생하는 사람들의 저항도 거셀 수밖에 없다. 그들은 다름 아닌 사회복지를 담당하는 관료들과 자신들이 他人의 주머니를 털어 살아가는 것이라는 자명한 이치를 감추어야 이익을 얻는 사람들이다.

이런 점에서 뢰프케는 『복지국가는 브레이크가 없는 자동차와 같다』고 표현하면서, 『복지제도의 시행은 원칙은 무엇이고 예외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기준은 무엇이고 그 기준에서 벗어나지만 어쩔 수 없이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편차는 무엇인가에 관한 명확하고도 확고한 생각을 가지고 있지 않는 한, 결코 섣불리 실행에 옮겨서는 안 된다』고 강조한다. 그는 『일단 실행해 보면서 나타나는 문제점은 차차 고쳐 나가면 되지 않겠느냐는 식의 어설픈 접근은 禁物이며, 이러한 태도에 대해 끊임없는 비판을 가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자유란 우선적으로 개인의 자유이며, 이 자유가 정치·경제·문화 등 모든 면에서 가장 중심적인 가치로 체현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던 뢰프케가 나치와 사회주의 등 통제주의, 집단주의에 대해 단호하게 거부한 것은 너무나 당연하다.

뢰프케는 경제와 사회를 합리적으로 계획하고 조직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계획경제주의자와 경제학 엔지니어, 경제에 대한 정부 개입의 가능성을 광범위하게 열어 주는 케인즈주의자들에 대해서도 신랄한 비판을 가했다. 그는 케인즈의 재정정책(Fiscal Policy)을 재정사회주의(Fiskalsozialismus)로 번역할 정도로 정부 개입에 대해 강한 거부감을 보였다.

그의 입장이 소위 「시대정신」을 거스른다는 비난에 대해서도 뢰프케는 전혀 개의치 않았다.

2003년의 한국에 대해 뢰프케는 뭐라고 말할까?

1947년 뢰프케는 하이에크, 오이켄, 미제스 등과 더불어 자유주의자들의 모임인 몽펠린 회의의 창립 멤버로 참석했다. 같은 해 국제자유주의자모임(Die Liberale Internationale)은 그를 회장으로 추대하였다.

뢰프케는 평생을 걸쳐 약 800여 편의 저작과 논문을 발표했다. 67세인 1966년 2월12일 뢰프케는 스위스 제네바에서 심근경색으로 사망하였다.

『그의 이름과 그가 언급했던 것들을 생각할 때마다 저는 독일 역사에서 가장 참혹했던 기간을 함께 떠올리게 됩니다.

이 절망적이고도 음산한 분위기 속에서 저는 당시 불온서적이었던 그의 저서들을 어렵게 손에 넣을 수 있었고, 마치 사막이 물을 빨아들이듯이 그의 사상을 단숨에 흡수 했습니다.

그 속에는 폭력과 야만이 난무하는 시절에 인간에게, 민족에, 또 각국의 정부에 절름발이가 되어 버리고 잠들어 버린 양심을 깨워 일으켜 자유의 가치와 은혜를 새롭게 부활시키라는 역사적 사명을 부여받은 것처럼 보이는 한 사람의 외침이 있었습니다. 그 사람이 바로 저의 친구이기도 한 뢰프케입니다』

이상은 뢰프케의 사상을 실천에 옮겨 「라인江의 기적」을 이룩했던 西獨 수상 에르하르트가 행한 추도사의 일부분이다.

2003년 현재 서울에 뢰프케가 나타나 우리에게 이렇게 질문한다면 우리는 어떤 대답을 줄 수 있을까?

『붕괴의 길을 걷고 있는 사회주의 북한에 대한 지나친 낙관론을 경계하면서, 한편으로는 자유시장경제의 정당성 확보에 가일층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가? 남북한 교류가 북한 지배자들의 내부권력은 강화시켜 주는 반면 남한의 저항력은 약화시키는 쪽으로 이용되고 있지는 않는가? 이것이 흔들리면 자유사회의 終焉이 눈에 보인다고 내가 우려했던 궁극적인 규범과 원칙들이 민주주의라는 이름 아래 훼손되고 있지는 않는가? 자유롭고 성숙한 인간으로서 자신의 삶을 스스로 책임을 갖고 개척하도록 하고, 그에따라 복지국가를 점차 축소시켜 나가는 진정한 진보의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가?』

Wilhelm Röpke

"I champion an economic order ruled by free prices and markets [...] the only economic order compatible with human freedom."

Wilhelm Röpke, as his companions Walter Eucken, Franz Böhm and Alexander Rüstow e.g., was one of the intellectual fathers of the German Market Economy, implemented by Ludwig Erhard as “Social Market Economy”. Although always an enemy of being put in any Procrustean box, he was proud to be called a “great Austrian economist” inter-nationally, in the tradition of Ludwig von Mises. In Germany, champions of the Market Economy as Röpke were called “Neoliberals” or “Ordoliberals”, summarized in Röpke´s own words: “I champion an economic order ruled by free prices and markets ... the only economic order compatible with human freedom.”

Röpke was an outstanding example of personal courage in fighting National Socialists and any kind of collectivism, a brilliant analyst of the complex economic and social crises of his times, and a political man of foresight. In 1930 e.g., before the elections to the Reichstag, he warned: “Nobody who votes National Socialists on September 14 may tell later on that he had not known what could be the result. He must know that he votes for chaos instead of order, destruction instead of building up ... for war inwards and outwards”.

Röpke not only was an excellent expert in trade - cycle theory e.g., in the tradition of monetary and capital theories of Mises, Böhm-Bawerk and Hayek, he also advised the German Government on practical means to overcome depression and un-employment in the Brauns-Commission (1930-1931) long before the “General Theory” of Keynes (1936).

For his uncompromising opposition to the Nazis he had to leave his homeland in 1933, first to Istanbul, then in 1937 to the Institute of International Studies in Geneva. Röpke´s great reputation with Chancellor Adenauer helped Ludwig Erhard to implement the German Market Economy against socialists in all parties; inter-nationally he paved the diplomatic way for Germany´s come back: morally and economically.

As a founding member of Hayeks Mont Pelerin Society (1947) and as a free trader, Röpke was convinced that freedom, peace and wealth are promoted best by competition on open markets, rule of law, private property, stable money, and a federal system as in Switzerland - nationally and internationally: people living peacefully together in all their rich variety of culture and religion, in a social system of freedom and self-responsibility.

Literature:

Wilhelm Röpke, Is the German Policy the Right One? (Evidence for Chancellor Adenauer 1950), in: Standard Texts on the Social Market Economy, Gustav Fischer, New York 1982.
Wilhelm Röpke, International Order and Economic Integration, Dordrecht, Holland 1959.

 

 

 
   
  ▲ Foundation for Economic Education  
 

Wilhelm Ropke: A Centenary Appreciation
(By Richard M. Ebeling)

Richard Ebeling is chairman of the economics department at Hillsdale College, where he is the Ludwig von Mises Professor of Economics.

On January 30, 1933, German president Paul von Hindenburg appointed Adolf Hitler chancellor of Germany. One week later, on February 8, Wilhelm Röpke, a 32-year-old professor of economics at the University of Marburg, delivered a lecture in Frankfurt am Main with the title “End of an Era?”

Röpke told his audience that Germany was in the grip of a “revolt against reason, freedom and humanity.” The National Socialists under Hitler were now the dominant force in an attack against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liberalism and Western civilization. Liberalism, correctly understood, represented a 2,000-year-old intellectual heritage of political, civil, and economic liberty. Liberty required the rule of reason, resting on “truthfulness instead of obscurantism, clarity instead of hysteria, the advancement of knowledge instead of sensationalism for the masses, logic instead of wallowing in moods and emotion. . . . It is only the liberal ideal of the use of Reason in the service of truth that has engendered science . . . that alone has liberated Europe from the stupor and wretchedness of barbarism.”

An additional element in the philosophy of liberalism, rightly understood, Röpke explained, was the idea of humanity. “The idea of humanity is seen in all its full significance when conceived as the rejection of the principle of violence in favor of the principle of reason. Violence is relegated to the very bottom of the scale of value; its use is admitted only as a last resort and with the utmost reluctance. This, ultimately, is the essence of civilization.”

But Nazism was the culmination of Germany’s sinking into “illiberal barbarism,” Röpke said, the elements of which were based on: (1) “servilism,” a “longing for state slavery,” with the state becoming the “subject of unparalleled idolatry”; (2) “irrationalism,” in which “voices” in the air called for the German people to be guided by “blood,” “soil,” and a “storm of destructive and unruly emotions”; and (3) “brutalism,” in which “The beast of prey in man is extolled with unexampled cynicism, and with equal cynicism every immoral and brutal act is justified by the sanctity of the political end.” Röpke warned that, “a nation that yields to brutalism thereby excludes itself from the community of Western civilization.” He hoped Germany would step back from this abyss before its people had to learn their mistake in the fire of war.[1]

Röpke also spoke out against the Nazi dismissal of Jewish professors and students from German universities, which began in April 1933. The Nazis denounced him as an “enemy of the people” and removed him from his professorship at the University of Marburg. After an angry exchange with two SS men sent to “reason” with him, Röpke decided to leave Germany and accept exile rather than live under National Socialism.[2]

Leading Figure

Wilhelm Röpke was a leading intellectual figure of twentieth-century Europe. He combined conservatism with classical liberalism to develop a political philosophy he called a market-oriented “middle way” between nineteenth-century capitalism and twentieth-century totalitarian collectivism. He also became a spiritual guide and political-economic architect of Germany’s “social market economy” in the post-World War II era. As Ludwig von Mises wrote when Röpke died in 1966 at the age of 66,

For most of what is reasonable and beneficial in present-day Germany’s monetary and commercial policy credit is to be attributed to Röpke’s influence. He—and the late Walter Eucken—are rightly thought of as the intellectual authors of Germany’s economic resurrection. . . . [T]he future historians of our age will have to say that he was not only a great scholar, a successful teacher and a faithful friend, but first of all a fearless man who was never afraid to profess what he considered to be true and right. In the midst of moral and intellectual decay, he was an inflexible harbinger of the return to reason, honesty and sound political practice.[3]

Röpke was born October 10, 100 years ago in Hanover, Germany. He grew up in a rural community of independent farmers and cottage industry craftsmen. His father was a country doctor. That upbringing can be seen in his later belief that a healthy, balanced, small community is most fit for human life.

The event, however, that shaped his chosen purpose in life was his experience in the German army in the First World War. War was “the expression of a brutal and stupid national pride that fostered the craving for domination and set its approval on collective immorality,” Röpke explained. The experience of war made him decide to become an economist and a sociologist when the cannons fell silent. He entered the University of Marburg, from which he earned his doctoral degree in 1921. At first, Röpke thought that socialism was the answer to the world’s problems. But he soon discovered that the only realistic solutions were to be found in classical liberalism and the market economy.[4] Among the most important influences in that discovery were the writings of Austrian economist Ludwig von Mises. “It was his book, Nation, State and Economy (1919) . . . which was in many ways the redeeming answer to the questions tormenting a young man who had just come back from the trenches,” Röpke wrote. And it was Mises who “rendered me immune, at a very early date, against the virus of socialism with which most of us came back from the First World War.”[5]

In 1922, Röpke became an adviser to the German government on the problems of reparation payments resulting from the Treaty of Versailles. From 1924 to 1928 he was a professor at the University of Jena, spending part of the time, in 1927–1928, in the United States studying American agrarian problems under the auspices of the Rockefeller Foundation. After returning to Europe he was a professor of economics at the University of Graz, Austria, in 1928–1929. In 1929 he was appointed professor of economics at the University of Marburg, a position he held until his expulsion by the Nazi regime in 1933. He also served as a member of the German National Commission on Unemployment in 1930 and 1931, and as an adviser to the German government in 1932.

After leaving Germany in 1933 he accepted a position at the University of Istanbul, Turkey, which he held until 1937, and during which he undertook the reorganization of its department of economics. He also founded and was the first director of the Turkish Institute of the Social Sciences.

 

 

Teaching Career in Geneva

In 1937 he was invited to become a professor of international economic relations at the Graduate Institute of International Studies in Geneva, Switzerland, a position he retained until his untimely death on February 12, 1966. The Graduate Institute had been founded in 1927 by the famous economic historian Paul Mantoux and the internationally respected economist, political scientist, and leading classical liberal William E. Rappard. In the Graduate Institute’s comfortable building overlooking Lake Geneva, Röpke took up his teaching duties. He was in the company of such colleagues as Mises, the eminent Italian historian Guglielmo Ferrero (an exile from the fascist regime in Italy), the Polish free-market economist Michael Heilperin, and the Austrian legal philosopher Hans Kelsen.

After the German occupation of France, Röpke was three times offered a teaching position at the New School for Social Research in New York (in 1940, 1941, and 1943) as a means of escape from Nazi-occupied Europe. But each time he turned down the invitation to leave neutral Switzerland, having decided to continue to be a voice for freedom and reason in a totalitarian-dominated Europe. In the immediate aftermath of the Second World War, Röpke circulated a memorandum offering a “plan for an international periodical” that would be devoted to the restatement and defense of classical liberalism and the free-market economy against all forms of political and economic collectivism. The journal was never established, but the ideas conveyed in the memorandum served as support for F. A. Hayek’s successful founding of the Mont Pelerin Society in 1947, an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scholars and opinion makers dedicated to the philosophy of freedom. Röpke served as the society’s president from 1960 to 1962.

In the 1950s, he was an economic adviser to the government of West Germany. He also was one of the leading figures of a group of market-oriented German economists who in the postwar period became known as the ordo-liberals; their purpose and goal was the construction of a “social market economy” that assured both an open, competitive order and minimal social guarantees.[6]

Business-Cycle Theory

In the 1920s and for part of the 1930s, a primary focus of Röpke’s writings was business-cycle theory and policy. His most significant work in this field was his 1936 volume Crises and Cycles, which summarized and elaborated on his earlier writings, mostly in German, on the subject.[7] Röpke argued that a complex division of labor with a developed structure of roundabout methods of production, held together by the delicate network of market prices for finished goods and the factors of production, had the potential to occasionally suffer from the cyclical waves of booms and depressions. The cause of such cycles was periodic imbalances between savings and investment in the economy. While not completely following the “Austrian” theory of the business cycle, Röpke’s approach moved along similar lines, arguing that a monetary expansion that kept the market rate of interest below the level that could maintain a balance between savings and investment would feed investment projects and cause misdirections of labor and resources into production processes in excess of the savings available to sustain them in the long run.

Röpke’s particular contribution to the analysis of the business cycle was his theory of what he called the “secondary depression.” When the boom ended, an economic downturn was inevitable, with the investment excesses of the upturn having to contract and be readjusted to the realities of available savings and the market-based patterns of supply and demand. But while serving on the German National Commission on Unemployment in 1930–1931, he came to the conclusion that there were negative forces at work at that time far beyond any normal type of post-boom adjustment. The failure of cost prices to promptly adjust downward with the decline of finished-goods prices was causing a dramatic collapse of production and employment. Rising unemployment resulted in declining incomes that then created a new round of falling demands for goods in the economy, that in turn brought about another decrease in production and employment. At the same time, growing unprofitability of industry made businessmen reluctant to undertake new investments, resulting in the accumulation of idle savings in the financial markets. Such a sequence of events generated a cumulative contraction in the economy that kept feeding on itself.

Röpke concluded that this secondary depression served no healthy purpose, and the downward spiral of a cumulative contraction in production and employment could only be broken by government-induced credit expansion and public-works projects. Once the government introduced a spending floor below which the economy would no longer go, the market would naturally begin a normal and healthy upturn that would bring the economy back toward a proper balance.[8]

In 1933, when Röpke published in English an article explaining the findings of the German Commission on Unemployment, John Maynard Keynes expressed to Röpke his “great satisfaction” that German economists were reaching the same conclusions as he had, namely, that government needed to take an active role in steering the economy. But Röpke had no sympathy for Keynes’s belief that the market was inherently unstable and permanently in need of government management of “aggregate demand.” In Röpke’s view the Great Depression represented a “rare occurrence” of an “exceptional combination of circumstances” that required “a deliberate policy of additional ‘effective demand’ into the economic system.” But, Röpke continued, Keynes’s construction of a “general theory of employment” based on the exceptional circumstances of the early 1930s was a “counsel of despair” and an extremely dangerous one, because it created a rationale for continuous government tinkering and a strong inflationary bias harmful to the stability of the market economy in the long run.[9] Indeed, Röpke became a leading critic of Keynesian economics after World War II.[10]

The Crisis of Western Civilization

But the central issue that absorbed almost all of Röpke’s intellectual and literary efforts in the 1930s and 1940s was what he considered the crisis of Western civilization, the most stark and terrible symptom of which was the rise of totalitarian collectivism as represented by Soviet communism, Italian fascism, and German National Socialism. He devoted all his efforts to opposing and challenging this horrible trend in a series of important and highly influential books. In 1937 he published Economics of the Free Society, a treatise on economic principles that not only explained and defended the market economy, but also strongly criticized the ideas of socialism and interventionism.[11] This was followed in 1942 by International Economic Disintegration, in which he detailed the disastrous consequences that collectivist economics produced by destroying the international division of labor through trade restrictions, exchange controls, government planning, domestic interventions, and policies of national self-sufficiency.[12]

But the heart of Röpke’s critique of the decay of Western civilization and the path for its renewal was in a trilogy published during the war: The Social Crisis of Our Time, Civitas Humana (later re-issued as The Moral Foundations of Civil Society), and International Order.[13] This was followed at the end of the war by The Solution of the German Problem (1945).[14] And a further reformulation of his conception of a properly ordered and balanced society was offered in A Humane Economy: The Social Framework of the Free Market (1958).[15]

The achievements of the eighteenth century, in Röpke’s view, were the use of reason for a balanced understanding of both the natural and social world; the awakening of an insight into the possibilities of a free, spontaneous order of market relationships; a conception of man that looked at him in proportionate human terms; and a sense of humanity in appreciating and wanting to improve the human condition. Out of these insights came the physical and biological achievements of modern science and medicine; a free-market order that both liberated man from the status and caste society of the past and dramatically improved his standard of living; and the liberal, democratic ideal in which the individual possessed rights to life, liberty, and property, and in which peace and tolerant political pluralism replaced imperial violence and political absolutism.

But as Röpke saw it, many of these achievements and successes had been twisted in the nineteenth century. The use of reason had become “unreasonable,” as there emerged a hyper-rationalism that claimed to have the power to discover the secrets for social engineering. The triumphs of the natural sciences in mastering the physical world had fostered a “cult of the colossal,” in which there was a worship of the things of the material world and the desire for the creation of objects bigger than human life. The grand accomplishments of the market economy had not only freed man from his previous social restraints, but cut him loose from all the societal moorings of family, community, and the harmonies of local life, and in its place reduced man to a proletarianized “mass” in an anonymous, impersonal urban existence. And the ideal of democratic pluralism had been undermined and reduced, increasingly, into an arena of special-interest political plunder.

“Termite State”

The loss of traditional human connections, the dehumanization of man in mass society, and the corruption of the political and economic marketplaces, Röpke argued, had created the sociological and psychological conditions for the emergence of and receptivity to the collectivist idea and its promise of a new community of man, a transformation of the human condition, and a better society designed according to a central plan. All these were false promises and hopes. Collectivism, whether of the fascist or communist sort, meant the end of a rational economic order, threatened the loss of freedom and the end to human dignity, and required the reduction of man to the status of an insect in what Röpke often referred to as the socialist “termite state.”

Röpke was uncompromising in his insistence that only the market economy was consistent with both freedom and prosperity. Only the market, with its system of private property rights, provided the framework to harness individual incentives and creativeness for the benefit of society. Only the market could generate the competitive process necessary for the formation of prices that could successfully coordinate supply and demand. Only the market gave each individual the freedom to be an end in himself while also serving as a voluntary means to the ends of others through the mechanism of exchange.[16]

Yet in Röpke’s view the market by itself was not enough. The humane society required going “beyond supply and demand,” to the construction of an institutional order that incorporated the market in a wider social setting. It was in this context that Röpke proposed the distinction between “conformable” and “nonconformable” interventions in the market. Nonconformable interventions went against the natural workings of the market through the introduction of price and production controls, which disrupted the normal coordinative processes of market competition. Conformable interventions influenced the underlying supply and demand conditions, and the institutional arrangements on which those conditions are based, for the purpose of modifying the results that competitive process would generate.

Röpke, for example, believed that: antitrust laws were necessary and desirable as a method of limiting some private industrial concentration; urban development restrictions were needed to limit the growth of city size and foster a retention of rural life; income redistribution was legitimate to narrow significant income inequalities; and moderate and limited welfare “safety net” programs were consistent with a humane society that remained essentially market-oriented. In fairness to Röpke it should be pointed out that in the wake of the Great Depression and the growing appeal of socialist planning, a large number of market-oriented economists at the time accepted a greater degree of interventionism and welfare-statist programs than many free-market economists would consider legitimate nowadays.[17]

But by the 1950s, Röpke began to have serious second thoughts about the welfare state and its tendency to grow beyond the narrow bounds that he considered reasonable.[18] Röpke agreed with his German liberal colleague Alexander Rustow, who in a paper delivered at a Mont Pelerin Society meeting in the 1950s referred to the welfare state as “the other road to serfdom.” Röpke feared that the welfare state, in a democratic system open to the pressures of special-interest groups, threatened to grow to monstrous proportions and create an increasing dependency on the paternalistic state. Furthermore, the costs of funding the welfare state and Keynesian “full employment” policies acted as an engine for worsening inflation as government resorted to the printing press to pay its bills.[19]

Finally, Röpke argued that the growing politicization of economic and social life through an expanding interventionist-welfare state undermined the possibility for a successful international order based on peace, mutual prosperity, and a rational allocation and use of the resources of the world. International order required countries to practice sound policies at home: respect for private property, enforcement of contracts, protection for foreign investments, limited government intervention, and non-inflationary monetary policies. Networks of international trade and investment would then naturally and spontaneously connect the world through private market relationships.[20] For this reason, Röpke was doubtful that European economic and monetary integration could be successfully imposed as long as the member states were unwilling to follow the necessary domestic policies of limited government and open, competitive market capitalism. Tensions and conflicts were inevitable in an age dominated by collectivist and interventionist ideas.[21]

Wilhelm Röpke was more than just an economist. During some of the darkest decades of the twentieth century, he sounded more like an Old Testament prophet warning of the dangers from a loss of our moral compass. Collectivism had few opponents in our century with as much of a sense of ethical purpose. Precisely because he was an economist by training, Röpke understood the indivisibility of personal, political, and economic freedom in a way that many other critics of socialism in its various forms could never articulate. The appreciation of history and the historical context in his analyses only enriched the persuasiveness of his message. The rebirth of the market economy in Germany and in other parts of Europe after 1945 owes a great deal to his intellectual efforts and legacy.

 

 

 

 



1. Wilhelm Röpke, “End of an Era?” [1933] in Against the Tide (Chicago: Henry Regnery, 1969), pp. 79–98.

2. Wilhelm Röpke, The Solution of the German Problem (New York: G. P. Putnam’s Sons, 1947), pp. 59–60; and J. Kaufmann, “In Memoriam, Wilhelm Röpke: Humanistic Liberal,” Nieuwe Rotterdamsche Courant, February 19, 1966.

3. Ludwig von Mises, “Wilhelm Röpke, RIP,” National Review, March 8, 1966, p. 200; also, F.A. Hayek, “Tribute to Röpke,” in Peter G. Klein, ed., The Collected Works of F. A. Hayek, Vol. 4: The Fortunes of Liberalism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2), pp. 195–97.

4. Wilhelm Röpke, “The Economic Necessity of Freedom,” Modern Age, Summer, 1959, pp. 227–36.

5. Wilhelm Röpke, “Homage to a Master and a Friend,” The Mont Pelerin Quarterly, October 1961, p. 6.

6. For an account of the German ordo-liberals and Röpke’s contribution to their ideas and policies, see Anthony J. Nicholls, Freedom with Responsibility: The Social Market Economy in Germany, 1918–1963 (Oxford: Clarendon Press, 1994); for a critical comparison of the ordo-liberals with the Austrian economists, especially Mises, see my “The Limits of Economic Policy: The Austrian Economists and the German Ordo Liberals,” in Richard M. Ebeling, ed., The Age of Economists: From Adam Smith to Milton Friedman (Hillsdale, Mich.: Hillsdale College Press, 1999), pp. 145–66.

7. Wilhelm Röpke, Crises and Cycles (London: William Hodge Co., 1936).

8. Wilhelm Röpke, “Trends in German Business Cycle Policy,” The Economic Journal, September 1933, pp. 427–41.

9. Wilhelm Röpke, “Keynes Revisited,” National Review, March 26, 1963, pp. 239–41.

10. Wilhelm Röpke, “The Economics of Full Employment” [1952], reprinted in Henry Hazlitt, ed., The Critics of Keynesian Economics (Princeton: D. Van Nostrand Co., 1960), pp. 362–85.

11. Wilhelm Röpke, The Economics of the Free Society (Chicago: Henry Regnery Co., 1963 [1937]).

12. Wilhelm Röpke, International Economic Disintregration (Philadelphia: Porcupine Press, 1978 [1942]); also “International Economics in a Changing World,” in William E. Rappard, ed., The World Crisis (Freeport, N.Y.: Books for Libraries, 1969 [1938]), pp. 275–90; “Fascist Economics,” Economica, February 1935, pp. 85–100; and “Totalitarian ‘Prosperity,’ Where Does It End?” Harper’s Magazine, July 1939, pp. 165–70.

13. Wilhelm Röpke, The Social Crisis of Our Time (New Brunswick: N.J.: Transaction Publishers, 1992 [1942]); The Moral Foundations of Civil Society (New Brunswick, N.J.: Transaction Publishers, 1996 [1944]); International Order and Economic Integration (Dordrecht, Holland: D. Reidel Co., 1959 [1945]).

14. Wilhelm Röpke, The Solution of the German Problem (New York: G. P. Putnam’s Sons, 1947 [1945]); also “The German Dust-Bowl,” The Review of Politics, October 1946, pp. 511–27.

15. Wilhelm Röpke, A Humane Economy: The Social Framework of the Free Market (Chicago: Henry Regnery, 1960 [1958]).

16. Wilhelm Röpke, “The Problem of Economic Order” [1951], reprinted in Johannes Overbeck, ed., Two Essays by Wilhelm Röpke (Lanham, Md.: University Press of America, 1987), pp. 1–45.

17. Among American market-oriented economists in the 1930s and 1940s who shared some of Röpke ’s views on these policy issues were Henry Simon and Jacob Viner at the University of Chicago, and Frank Graham at Princeton University; in Europe the group included F. A. Hayek and Lionel Robbins at the London School of Economics, Walter Eucken and many other market economists in Germany, and Eli Heckscher in Sweden.

18. Wilhlem Röpke, “Is the German Policy the Right One?” [1950] in Wolfgang Stutzel, Christian Watrin, Hans Willgerodt, Karl Hohnmann, eds., Standard Texts on the Social Market Economy (New York: Gustav Fischer, 1982), pp. 37–48.

19. Wilhelm Röpke, “Welfare Freedom and Inflation” [1964] in Overbeck, pp. 49–103; also “Repressed Inflation” Kyklos, vol. 1, no. 3, 1947, pp. 242–53; “Inflation—Hot and Cold,” National Review, January 18, 1956, pp. 15–17; and “The Creeping Inflation of Our Times and Values,” Freedom and Union, September 1961, pp. 12–15.

20. Wilhelm Röpke, “Economic Order and International Law,” in Recueildes Cours, vol. 86, pt. II, 1954, pp. 202–71.

21. Wilhelm Röpke, “Political Enthusiasm and Economic Sense: Some Comments on European Economic Integration,” Modern Age, Spring 1958, pp. 170–76; A World Without a World Monetary Order (Johannesburg: South African Institute of International Affairs, 1963); “European Economic Integration and Its Problems” Modern Age, Summer 1964, pp. 231–44; “European Prosperity and Its Lessons,” South African Journal of Economics, September 1964, pp. 187–98; and “The Place of the Nation: Beyond the One World,” Modern Age, Spring 1966, pp. 119–3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보성 2008-05-26 09:07:58
개인의 자유와 경제의 자유에는 결국 오직 욕망의 돈의 자유가 있고 욕망을 무지한 인간들의 다수에게 부추기는 바 절제는 없음. 그리고 무한 쾌락을 조성하는 것은 뻔함.
독일 분할은 부당, 왜냐면 전범은 숙청한 상태고 소련에 미국의 힘이 강한 상태에서 가른 것은 싸움을 만들어 무기를 파는 상업의 자유로 결국 세금에 담보에, 재주는 누가 돈은 누가...
메인페이지가 로드 됐습니다.
기획특집
가장많이본 기사
뉴타TV 포토뉴스
연재코너  
오피니언  
지역뉴스
공지사항
동영상뉴스
손상윤의 나사랑과 정의를···
  • 서울특별시 노원구 동일로174길 7, 101호(서울시 노원구 공릉동 617-18 천호빌딩 101호)
  • 대표전화 : 02-978-4001
  • 팩스 : 02-978-8307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종민
  • 법인명 : 주식회사 뉴스타운
  • 제호 : 뉴스타운
  • 정기간행물 · 등록번호 : 서울 아 00010 호
  • 등록일 : 2005-08-08(창간일:2000-01-10)
  • 발행일 : 2000-01-10
  • 발행인/편집인 : 손윤희
  • 뉴스타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뉴스타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newstowncop@gmail.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