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상에서 저 너머로
스크롤 이동 상태바
지상에서 저 너머로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칙칙한 묘비 앞에서 무지개를 기도하다

 
   
     
 

하느님, 그 날 저 산 너머 하늘가엔 무지개를 걸어 놓아주십시오. 빗속의 지상을 떠나 저 하늘 아름다운 산 너머로 총총히 발걸음을 옮기겠습니다.
- 신부 이정우의 시, 죽음을 기억하라 중에서 -

가위, 바위, 보, 이것은 양자간 또는 다자간의 승부를 빨리 결정할 수 있는 좋은 게임이다. 가위바위보 보다 어릴 적에 동네골목에서 놀면서 “짱껭뽕!” 하던 소리가 지금까지 귀속에서 맥놀이 친다. 좀더 커서는 가위바위보를 응용한 “묵지빠”로 일대일 승부를 겨루며 놀던 생각도 떠오른다.

가위-바위-보 삼자 사이는 우열이 없고 함께 평화관계를 유지한다. 뱀 세 마리가 삼각형을 이루며 서로의 꼬리를 물고 있는 긴장된 순간의 형상이라 할까. 그러나 일단 뱀 한 마리가 갑자기 삼각의 고리에서 이탈하게 되면 바로 양자관계의 사이로 좁혀지고, 이때 승패는 뚜렷하게 갈라진다.

보한재 신숙주(1417-75), 매죽헌 성삼문(1418-58), 매월당 김시습(1435-93) 세 사람은 15세기에 혜성처럼 나타나서 가위바위보의 한 각을 차지한 인물이다. 출세로 보면 보한재가 매죽헌을 이겼고, 절개로 보면 매죽헌이 매월당을 이겼고, 자유로 보면 매월당이 보한재를 이겼다. 그러나 셋이 함께 모이면, 즉 입체적으로 보면 삼자간의 승패를 가늠하기 어려워진다.

전자회로의 꽃은 증폭기이다. 엔지니어가 어떤 특정한 증폭기를 설계할 때 크게 이득(Gain), 대역폭(Band-width), 시장성 이상 세 가지를 절충해야 한다. 그런데 한 증폭기에서 이득을 높이(낮추)면 주파수의 대역폭이 좁혀(넓어)진다. 이득과 대역폭의 곱(GBP)이 일정하다는 것은 하나의 법칙이다.

결국 “GBP=일정”이란 증폭기의 공식이 모든 사람에게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인가? 삶이란 오지랖의 넓이는 누구나 같다고. 이 말이 굵(가늘)고 짧(길)게 산다는 것과 통하는 듯싶다. 또 이렇게도 될까, 자기를 세우(버리)면 주변을 잃(얻)는다. 아무튼 삶이란 자아와 주변과의 끝없는 타협이다.

어떻게 죽을 것인가? 삶이란 경주에서 종착 테이프를 끊을 때의 내 모습은 어떤 꼴일까? 이 물음에 대한 답안작성이 삶의 마지막 과제이다. 테이프 넘어 밑 모르는 나락으로 떨어져 영원히 사라져버리는 것인지, 아니면 테이프 자체가 찬란한 무지개의 다리가 되어 무궁한 나라로 이어지는 것인지.

“내세에 대하여 꿈꾸는 것은 자유다”, 혹자는 이렇게 빈정거릴 수 있다. 그러나 지상에서 측정 가능한 실공간을 3차원이라 한정했을 때, 실측 불능의 허공간은 4차원으로 잡을 수 있다. 실공간에 대한 허공간의 존재가 양자역학에서 상식이듯 인간의 언어는 내세에 대한 명백한 증거품이다.

百歲標余壙 목숨 다하자 제 무덤에 이르렀고
當書夢死老 꿈꾸다 늙어죽었다고 쓰시겠지요.
庶幾得我心 어느 정도 내 마음을 파악했으나
千載知懷抱 천년 지나야 품은 뜻이 알려지리.
매월당이 삶의 마감을 준비하며 쓴 “나의 삶(我生)”의 끝 네 마디이다.

매월당은 만수산의 무량사(萬壽山無量寺, 충남 부여)에서 죽었다. 이 절의 금당(金堂)은 아미타불을 모신 극락전이다. 그는 그곳의 부도탑(浮屠塔)에 사리 한점(현재 부여박물관에 안치)을 남겼다. 매월당이 죽기 위해 남쪽으로 간 까닭은 산과 절 그리고 전(殿)의 명칭에서 분명하게 대답하고 있다.

매죽헌의 주검은 거열형(車裂刑)으로 5분6열 당했다. 현재 남아있는 무덤은 세 곳이다. 사육신 묘(서울 노량진), 노은단(魯恩壇, 충남 홍성), 성삼문 묘(충남 논산), 각 곳에 그의 어느 부분이 묻혔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오늘밤은 누구의 집에서 자야하나? 매죽헌이 죽기 전 자문(自問)한 말이다.

보한재는 언어의 천재였음으로 내세를 직감하고 있었을 것이다. 인생이 이렇게 그치고 마는가? 임종에 이르러 답답해진 그는 이렇게 독백했다. 보한재의 묘(의정부 민락동)에서 동쪽으로 수리봉(537m)이 보이고, 그 너머 건너편에 광릉이 있다. 광릉은 그가 생전에 줄섰던 세조의 무덤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김영선 2006-07-04 20:17:29
몇주간의 긴 시간동안 나름의 인격에대해 인물들을 생각하며 그분들의삶과 시대의 아픈 과거를 좀더 깊이있게 이해하고 생각할수있는 좋은 시간이었습니다.교수님의 내용의 깊이와 인물을 이해하기 위해 얼마나많은 시간과 열정을 쏟으셨는가를 알수가 있었습니다. 단순히 독자가 읽기위한 흥미의 내용이 아니라 깨달음의 이치를 일깨워주는 훌륭한 내용이었습니다. 좋은 내용 감사드립니다.계속 좋은 내용부탁드립니다. 건강 조심하십니요.
메인페이지가 로드 됐습니다.
가장많이본 기사
뉴타TV 포토뉴스
연재코너  
오피니언  
지역뉴스
공지사항
동영상뉴스
손상윤의 나사랑과 정의를···
  • 서울특별시 노원구 동일로174길 7, 101호(서울시 노원구 공릉동 617-18 천호빌딩 101호)
  • 대표전화 : 02-978-4001
  • 팩스 : 02-978-8307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종민
  • 법인명 : 주식회사 뉴스타운
  • 제호 : 뉴스타운
  • 정기간행물 · 등록번호 : 서울 아 00010 호
  • 등록일 : 2005-08-08(창간일:2000-01-10)
  • 발행일 : 2000-01-10
  • 발행인/편집인 : 손윤희
  • 뉴스타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뉴스타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newstowncop@gmail.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