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앓고 나면 수개월 면역력”
스크롤 이동 상태바
“코로나19 앓고 나면 수개월 면역력”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대 8개월…T세포가 바이러스 기억, 변이에도 효과

코로나19에 감염됐다가 회복된 사람들은 광범위하고 지속성 있는 면역력을 갖게 되며, 변이에도 어느 정도 저항력을 갖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일 에포크타임스에 따르면 미국의 연구 중심 명문대학인 에모리대학 백신센터가 의생명과학분야 학술지 ‘셀 리포트 메디신’(Cell Reports Medicine)에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코로나19 회복 환자 대부분이 최대 250일까지 중공 바이러스 면역을 나타냈다.

연구팀은 지난 2020년 4월부터 약 8개월에 걸쳐 18세부터 82세까지의 코로나19 환자 254명을 대상으로 여러 차례 혈액샘플을 채취해 조사했다. 연구 대상의 71%는 경증, 24%는 중등도, 5%가 중증 환자였다.

라피 아메드 에모리대학 백신센터 소장은 22일 이 대학 신문과 인터뷰에서 “대다수 환자에게서 면역반응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면역 글로블린G(IgG) 항체가 더 오래 지속되고 더 서서히 소멸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는 환자들이 사스 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의 스파이크 단백질을 중화시킬 수 있는, 오래 사는 형질 세포(long-lived plasma cells)를 생성하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SARS-CoV-2는 코러나 바이러스의 학명이다.

우리 몸은 바이러스 등 ‘항원’(세균, 독소 등)이 침입하면, ‘항체’를 생성해 이에 대응한다.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먼저 ‘항체 생성 면역 세포’가 빠르게 늘어나, 혈관 속을 돌아다니며 바이러스를 발견하면 항체를 만들어 낸다. 이른바 항원항체반응이다.

감염이 해소되면 대부분의 ‘항체 생성 면역세포’는 소멸하지만, ‘장수(長壽) 형질 세포’는 살아남아 적은 양의 항체를 계속 혈액 속에 공급한다. 화재를 진압하고 난 뒤, 꺼진 불도 다시 보는 식으로 대비하는 셈이다.

지난해 10월 매사추세츠 종합병원 연구팀 발표에 따르면, 중공 바이러스(항원)의 침입으로 생성되는 항체는 IgA, IgG, IgM의 3가지다. IgM은 주로 초기 대응에 관여하고, IgG는 전반적인 대응에 관여한다.

매사추세츠 종합병원 연구에서는 IgA, IgM은 지속기간이 2.5개월로 짧고 IgG는 4개월 정도로 나타났다. 그런데 이번 에모리 대학 연구에서는 코로나19 회복 환자는 장수 형질 세포가 최대 약 8개월에 걸쳐 IgG를 생성해 면역력을 제공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코로나19를 가볍게 앓고 나면 장기적인 항체면역이 생긴다는 연구 결과는 지난 5월 학술지 ‘네이처’에도 실린 바 있다. 워싱턴의대 연구팀은 코로나19 경증 및 중증환자 77명, 감염된 적 없는 11명을 대조해 경증 환자에게서 ‘장수 형질 세포’ 형성을 확인했다.

다만, 연구팀은 중증 환자는 ‘장수 형질 세포’ 형성이 확실치 않다며, 백신 접종으로도 ‘장수 형질 세포’가 생기는지 연구 중이라고 덧붙였다.

자연적 감염이 ‘장수 형질 세포’를 생성한다는 워싱턴의대 연구 결과는 에모리 대학의 이번 연구와도 맞아떨어진다.

에모리 대학 연구팀은 “자연적인 감염에 대한 면역 반응은 CD4+ T세포, CD8+ T세포가 에피토프(epitopes·항원 결정기)를 보존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사스 코로나바이러스-2의 변종에도 어느 정도 보호력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에피토프는 침입한 물체가 ‘항원’인지, 면역체계가 알아볼 수 있는 부분이다. 현재 백신과 치료제는 바이러스의 인체 침투력과 직결되는 스파이크 단백질 대응에 집중돼 있다. 그러나 에피토프는 스파이크 단백질 외에 바이러스의 다른 부분에 존재할 수 있다.

바이러스를 창을 든 기사에 비유하면, 백신과 치료제가 창(스파이크 단백질)에 집중하는 반면, 인체 면역계의 T세포는 창끝 외에 기사의 몸통이나 머리, 발 등 다른 부위도 공격할 수 있다는 의미다.

이는 변이 바이러스를 상대할 때 의미가 커진다. 스파이크 단백질은 변이가 심하다. 기사가 창을 바꿔 들 경우, 즉 바이러스가 스파이크 단백질에 변이를 일으킬 경우, 특정한 창에 특화된 백신은 대응력이 떨어질 수 있다. 일부 백신이 델타 변이에 무력한 이유다.

하지만, T세포는 변이가 덜한 부분에 대한 공격 방법을 기억하고 있어 여전히 면역력을 나타낼 수 있다. 이는 에모리대학 연구팀의 결론 중 하나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메인페이지가 로드 됐습니다.
기획특집
가장많이본 기사
뉴타TV 포토뉴스
연재코너  
오피니언  
지역뉴스
공지사항
동영상뉴스
손상윤의 나사랑과 정의를···
  • 서울특별시 노원구 동일로174길 7, 101호(서울시 노원구 공릉동 617-18 천호빌딩 101호)
  • 대표전화 : 02-978-4001
  • 팩스 : 02-978-8307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종민
  • 법인명 : 주식회사 뉴스타운
  • 제호 : 뉴스타운
  • 정기간행물 · 등록번호 : 서울 아 00010 호
  • 등록일 : 2005-08-08(창간일:2000-01-10)
  • 발행일 : 2000-01-10
  • 발행인/편집인 : 손윤희
  • 뉴스타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뉴스타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newstowncop@gmail.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