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한국전쟁 포로·납북자 송환해야”

유엔 인권전문가들 “약 5만명…처형되거나 강제 노역”

2020-08-26     성재영 기자

유엔 인권 전문가 4명이 한국전쟁 발발 70주년을 맞아 한국전쟁 중 붙잡힌 한국군 전쟁포로와 강제 이주된 주민들의 송환을 촉구하는 서한을 북한에 보낸 것으로 확인됐다.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가 25일 웹사이트에 이들이 공동명의로 북한 정권에 보낸 6월 23일자 서한을 공개했다고 VOA가 26일 전했다.

서한에는 루치아노 하잔 유엔 강제적.비자발적 실종 실무그룹 대표 보고관과 애그니스 캘러머드 유엔 초법적 약식 자의적 처형 특별보고관, 오보카타 토모야 현대적 노예제에 관한 특별보고관, 그리고 닐스 멜저 유엔 고문과 잔혹한 비인도적 굴욕적 대우와 처벌에 관한 특별보고관이 서명했다.

유엔 인권 전문가들은 이 서한에서 정전협정이 전쟁포로와 강제 이주된 주민들의 송환을 명시하고 있지만 북한 정부는 송환을 지속적으로 거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유엔은 그동안 한국전쟁 당시 납북된 피해자 가족의 사연을 소개하는 영상을 공개하는 등 전시 납북 사건 진상 규명을 위해 노력했다.

시나 폴슨 전 서울 유엔인권사무소장은 유엔인권사무소가 북한의 인권 침해와 관련해 특히 눈여겨 보고 있는 부분이 납북자 문제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6.25전쟁납북인사가족협의회와 같은 한국의 민간단체 등과 협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유엔 인권 전문가들은 한국전쟁 당시 북한에 끌려간 전쟁포로와 납북자 중 5만명이 송환되지 못한 것으로 인권 전문가들은 추정했다.

전쟁 후 이들의 상당수가 귀환 의사를 밝힐 기회가 없었고, 귀환 의사를 밝힌 이들은 약식 처형에 당했다는 것이다.

또 이들은 광산에서 강제 노역을 하면서 사고나 질병으로 사망에 이르기도 했으며, 그들의 자녀들도 비슷한 처지에 놓이게 됐다고 설명했다.

유엔 인권 전문가들은 그러면서 한국전쟁 포로와 납북자를 포함한 “모든 납북자들이 처한 상황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공하고, 그들이 친척들과 자유롭게 소통하며, 최대한 빠른 시한 내에 그들을 송환할 것을 북한 정부에 요청한다”고 촉구했다.

하지만 북한은 유엔 인권 전문가들이 제기한 혐의에 대해 전면 부인하고 나섰다.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가 공개한 6월 30일자 서한에서 북한은 “납치와 강제실종” 혐의는 적대 세력이 인권을 구실로 북한 체제를 전복시키기 위해 조작한 상투적이고 야비한 정치공작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고려할 가치도 없는 이런 혐의를 단호히 거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