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대(對)중국중시’에서 ‘강경자세’로 그 이유는 ?

중국제품 불매 운동도 펼쳐

2017-07-03     김상욱 대기자

역사적으로 중국은 인도와 국경 지역에서 많은 문제를 안아왔으며, 인도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상임이사국 진출을 적극 지지하지 않는 등 중국과 인도 양국은 많은 갈등의 불씨를 안고 왔다.

지난 2014년에는 인도 총리로 취임한 나렌드라 모디(Narendra Modi) 총리가 단독 해외 방문지로 택한 나라는 부탄이었으며, 두 번째 방문국은 네팔이었다. 이들 2개국은 중국과 국경을 마주하는 내률 국가들이다. 따라서 중국과 갈등관계에 놓여 있는 인도 정부는 부탄과 네팔에 대한 인도의 영향력 유지를 중시해왔고, 앞으로도 그 영향력유지에 힘을 모을 것이 분명하다.

2014년 부탄을 방문한 모디 총리는 같은 해 일본을 방문, 행한 연설에서 “중국의 영토 확장 주의”에 대해 은근히 비판을 가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후 인도는 한 때 중국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는 등 중국 중시 자세를 가진 시기도 있었다. 이후 중국을 전 방위로 견제하려는 미국과 인도의 공동성명에서 인도 정부는 남중국해에 대한 언급을 가급적 피하려는 자세를 보이며 중국을 배려하는 모습도 보이기도 했다. 그 배경에는 파키스탄에 근거지를 두고 있는 이슬람 과격조직의 지도자의 유엔 제재목록에 게재하고, 인도의 원자력공급국그룹(NSG)참가에 중국의 합의를 얻어내려는 속뜻이 있었다.

하지만 어느 문제에서도 중국은 타협을 거부했고, 인도는 다시 대중국중시 자세에서 다시 강경무드로 전화되기 시작했다.

2017년 4월에는 인도가 실효지배를 하고 있는 중국도 영유권을 주장하는 인도북동부 아루나차프라데시 주 티베트불교 최고지도자 달라이 라마 14세의 방문을 중국의 반대를 무릅쓰고 용인하는 등 갈등의 불씨는 더욱 커져왔다. 특히 2016년 10월 21일에는 리처드 베르마 인도 주재 미국 대사가 아루나찰 프라데시 주 타왕에서 개막한 ‘타왕 축제’에 주 총리의 초청을 받아 방문하자 중국 정부가 크게 반발했다.

2016년 10월 24일 루캉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리처드 베르마 대사가 방문한 지역은 중국과 인도 간 영유권 분쟁이 있는 곳”이라며 “우리는 그의 방문을 강하게 반대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책임감 있는 제삼자는 양국의 평화 노력을 존중해야 한다. 미국이 중국과 인도의 국경문제에 관여하지 않기를 요청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비카스 스와루프 인도 외교부 대변인은 “베르마 대사가 방문한 아루나찰 프라데시 주는 그의 부임지인 인도를 구성하는 한 주이며, 그의 이번 방문에 아무런 이상이 없다”고 반박하기도 했다.

인도가 사실상 실효지배하고 있는 아루나찰 프라데시 주 9만㎢를 중국이 자국 영토라고 주장하고 있는 반면 인도는 중국이 통치하는 카슈미르 악사히친 지역 3만 8천㎢의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인도와 중국은 국경문제로 1962년 전쟁까지 치렀으나, 아직까지도 국경을 획정하지 못하고 실질통제선(LAC)을 설정, 사실상 국경으로 운용하고 있는 중이다.

한편, 2017년 5월에는 중국에서 대규모로 열린 현대판 실크로드 경제권 구상인 ‘일대일로(一帶一路, One Belt One Road)'에 관한 국제협력회의 포럼을 이도 정부는 보이콧했다. 이 구상 중에는 영유권 다툼을 벌이고 있는 캬슈미르 지방의 파키스탄 지배지역을 포함하고 있다는 점을 들어 인도 정부가 포럼 거절을 한 것이다. 이러한 일들로 인도와 중국 사이는 악화일로로 치닫고 있다.

모디 총리는 한 때 중국 투자를 해왔으나 최근 들어서는 집권 여당과 가까운 힌두지상주의 단체가 중국 제품 불매운동을 촉구하는 등 두 나라 사이는 격화되고 있다. 특히 인도 군부에서는 중국과의 국경 문제와 관련, “인도는 군사적으로 (중국에) 저항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을 정도로 중국에 대해 격앙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