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진이, 최고의 주선이었다
스크롤 이동 상태바
황진이, 최고의 주선이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명절과 음주 운전

적당히 마시는 술은 진솔한 마음의 문을 열게 한다. 긴밀한 인간관계를 맺어 주는 윤활유로서 작용할 뿐 아니라 스트레스 해소 및 여러 약리작용으로 건강에도 도움을 준다. 그러나 정도가 지나치면 많은 해악을 가져온다.

사람들의 그릇된 음주 양태는 건강, 재산, 사람을 잃고, 사회에도 적잖은 문제를 가져온다. 술도 음식이기 때문에 편식하면 안 된다. 술을 잘 마셔야 남자답고 배포가 커 보인다는 못난 생각과 적당히 라는 것을 모르고 이차 삼차를 가야 한다는 생각도 버려야 할 습관 중에 하나다.

술 먹기 내기를 하면서 자기가 가장 많이 먹고, 그래서 건강하며, 자기를 영웅시하려는 것처럼 어리석은 일은 없다. 하지만 주위에서 그러한 사람들을 많이 보게 된다. 따라서 우리나라 술꾼들이 고쳐야 할 음주문화가 많다.

술을 허물없는 친구끼리 마셔도 조심해야 한다. 그것은 잘 못하면 아주 오랫동안 나쁜 관계로 남아 있게 되기 때문이다. 적당한 선에서 마시고 먹지 않으면 그것이 지울 수 없는 상처가 되어서 나쁜 인간관계가 지속될 수가 있다.

따라서 술을 마시되 술에 얽매이지 않는 주선(酒仙)이 매우 필요하다. 한국의 최고 주선으로는 황진이라고 말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녀는 조선조 중종 때 송도의 이름 난 기생으로 빼어난 용모와 가무로 남자들을 사로잡았던 인물이다.

당대의 시서와 술로 이름을 날리던 영웅호걸들을 사로잡았다. 적당한 선에서 상대를 제압하고 많은 주객들을 손아귀에 넣고서 통제하는 미와 기와 부드러움을 가졌던 인물이다. 김삿갓 역시 팔도강산을 방랑하며 술과 시로 여생을 보낸 인물이다.

하지만 반대의 인물로는 연산군이 술과 향락에 빠져서 무오사화와 갑자사화를 일으켰던 임금이다. 그는 방탕한 생활을 즐기기 위해서 8도에 미녀와 좋은 말을 구하는 임무를 띈 채홍준사(採紅駿使)라는 관리까지 두어 가며 과도한 술과 향락을 즐겼던 인물이다.

우리에게 청록파로 알려진 조지훈은 술 마시는 것에 대해서 품격, 연륜, 주력 등에 따라 주도를 18단계로 나누어서 생각했다. 그 중에 술 마시기 7단으로 낙주(樂酒)는 마셔도 되고, 안 마셔도 그만이며, 술과 더불어 유유자적하는 사람이라고 말했다.

또한 민주(憫酒)는 마실 줄도 알고 겁내지도 않지만 취하는 것을 민망하게 생각하는 사람들이라고 말했다. 그런 마음을 가진 사람이라면 술을 마시고, 남을 해하거나 욕되게 하지 않을 것임에 틀림없다. 술을 마시고 나서 자기를 다스리지 못하면 안 마신 것만 못하다.

특이 명절이나 무슨 특이한 날에, 술을 마시고 괜한 객기를 부리는 사람을 가장 못난 인간으로 치부해 온 것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술을 마시고 실수를 하면 그것은 오랫동안 상호간의 마음을 괴롭히게 된다.

술꾼들이 술을 마시면서 청탁불문(淸濁不問)이나 두주불사(斗酒不辭) 하면 아주 어리석은 자가 된다. '술을 물처럼 마시는 자는 술에 값하지 못한다.'는 말도 있다. 술을 마시면서 술만도 못한 행동을 한다는 이야기다.

임어당은 80세 까지 술과 담배를 즐겼던 인물이다. 그는 음주의 정취에 대해서 "애주가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정서다. 따라서 얼큰한 정도로 술을 마시는 것보다는, 자기 마음의 정서를 다스릴 줄 아는 사람이 가장 술을 잘 마시는 사람이다."라고 말했다.

술을 못 마시는 사람도 술의 정서를 가지고 있다. 그런데 하물며 술을 마시고 그에 미치지 못하는 정서를 가진 사람은 술꾼이 아니다. 반드시 술을 많이 마셔야 정서를 탐닉할 수 있는 것도 아니고, 술을 안 마셨다고 정서가 불안 한 것도 아니다.

보드레르, 술과 인간의 관계는 끊임없이 싸우고 화해하는 투사의 관계

술은 입으로 마시는 것이 아니라 마음으로 마실 줄 알아야 그 참 맛을 즐길 수가 있다. 술꾼이 술을 절제한다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는 모두가 안다. 회식이나 접대가 많은 비즈니스맨 일 경우에 더욱 그러하다. 무조건 거절하는 것도 분위기를 깨뜨릴 수 있고 오해를 살수도 있다.

안 마시면 친화력이 떨어지기도 하고, 너무 많이 마시면 실수를 하기도 한다. 그래서 술 마시기의 정도를 알고 그 기준을 알며 지키는 일이 쉽지 않다. 시인 보드레르는 술과 인간의 관계는 끊임없이 싸우고 화해하는 사이가 좋은 투사와 같은 관계라고 말했다.

술내기에서 진 쪽은 이긴 자를 항상 포옹한다고 생각하고, 이긴 쪽은 승리감 때문에 늘 술에 취해서 질질 끌려 다니게 된다. 이러한 것 때문에 올바른 음주문화를 지키려는 노력은 아주 오래 전부터 인간 사회에 존재해 왔다.

BC 9천년 경에 이미 이라크는 개와 양을 사육하였다. 그들은 주로 동굴에서 살았기 때문에 어둠을 밝히기 위해서 횃불을 사용했다. 배가 고프게 되면 자기가 기른 양이나 물고기를 잡아서 구워먹었다. 그리고 배가 부르게 되면 여흥을 찾게 되면서 음주는 시작되었다.

자연스러운 여흥을 위해서 취해지는 물질을 찾게 되었고, 술을 발견하였으며, 이를 마시고 가무를 즐겼다. 따라서 술의 발달 역사는 자연 발생적이었다고 본다. 그러나 슬기로운 자들은 항상 그 정도를 지키며 절제를 했다.

동굴은 늘 어두워서 술을 마시고 취하는 것이 음습함과 관련이 있었다. 그래서 지금도 술집은 조금 어두워야 한다고 생각하고, 비좁은 공간을 선호하게 되었다. 공동체 문화로서 여러 가지 관습들이 존재하고 술과 관련한 공동선이 우리에게 있었다.

고대 이집트인들은 술을 마시고 남들이 보는 데서 방뇨하지 않았고, 크게 외치지 않았으며, 토해서 더럽게 보이는 일 같은 것에 대해서 수치로 알았다. 또한 그들을 더 존경하게 만드는 것은 토론문화다. 술자리에서 토의를 하여서 찬성된 것은 다음날 반드시 다시 토의하였다.

예비 채택으로 간주해서 술이 깬 다음에 그것을 다시 제안하여서 채택하는 지혜를 보였다. 그래서 술이 취했을 때와 술이 취하지 않았을 때에 나타나는 서로 다른 인격에 대해서 확인하고, 그 본심을 파악해서 다시 결정하는 것을 중시했다.

이처럼 술 취한 것을 민망하게 아는 사람들이 많은 사회가 밝은 사회다. 명절날 취해서 비틀거리고 고성방가하며, 아무데나 오물 버리고, 시비를 거는 사람들이 적은 사회가 좋은 사회다. 더욱이 명절날 음주운전으로 다른 사람의 생명을 빼앗는 일은 정말로 못난 짓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메인페이지가 로드 됐습니다.
기획특집
가장많이본 기사
뉴타TV 포토뉴스
연재코너  
오피니언  
지역뉴스
공지사항
동영상뉴스
손상윤의 나사랑과 정의를···
  • 서울특별시 노원구 동일로174길 7, 101호(서울시 노원구 공릉동 617-18 천호빌딩 101호)
  • 대표전화 : 02-978-4001
  • 팩스 : 02-978-8307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종민
  • 법인명 : 주식회사 뉴스타운
  • 제호 : 뉴스타운
  • 정기간행물 · 등록번호 : 서울 아 00010 호
  • 등록일 : 2005-08-08(창간일:2000-01-10)
  • 발행일 : 2000-01-10
  • 발행인/편집인 : 손윤희
  • 뉴스타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뉴스타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newstowncop@gmail.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