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 침몰 하루전 북한은
스크롤 이동 상태바
천안함 침몰 하루전 북한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판문점 도끼만행 사건을 상기하라

천안함 침몰 하루 전(2010년 3월25일), 북한이 서해함대사령부와 4군단의 병력을 증강하고 전투준비상태로 대기하라는 비밀지시를 내렸다고 대북 민간 라디오 방송인 열린북한방송이 지난 4월 29일 보도했다. 이 매체는 북한 통신원을 인용해, “천안함 사건이 북한 매체를 통해 발표(17일)된 이후에는, 장병들 사이에서 ‘천안함 격침 때문에 전투준비태세 지시가 있었던 것 아니냐'는 말이 돌고 있다”고 덧붙였다 (조선일보 2010. 4. 30).

천안함 침몰 하루 전에 북한군 서해함대사령부와 4군단이 전투준비상태로 대기하고 있었다는 사실은 천안함 침몰 사건에 북한이 개입되어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명하는데 결정적인 단서가 된다. ‘천안함 격침 때문에 전투준비태세 지시가 있었던 것 아니냐'는 말은 북한 내부의 시각, 즉 북한군 장병들의 시각이다.

만약 여러 해 후 그 장병들 중에서 탈북자가 생긴다면 무어라고 증언하겠는가? 천안함 침몰 하루 전에 북한군은 전투준비상태로 대기하고 있었다고 증언하지 아니하겠는가. 그리고 그 증언이 무엇을 시사하겠는가? 천안함 침몰 하루 전에 북한군이 전투준비상태로 대기하고 있었다는 것은 천안함 침몰 사건은 북괴의 준비된 소행이었음을 시사한다.

전투준비상태로 대기하라는 명령을 받은 군인은 누구나 전쟁의 긴박성을 느끼기 마련이다. 군인에게 전투준비상태로 대기하라는 명령은 싸우다 죽을 준비가 되어있으라는 명령이다. 누구든 자신의 생사가 달린 문제에는 깊은 관심을 가진다. 1976년 판문점 공동경비구역에서 북한 경비병들이 미군에게 도끼를 휘두른 이른바 판문점 도끼만행 사건 때 전투준비상태로 대기하고 있었던 군인들에게는 지금도 그 경험이 기억이 생생하다.

그때 출동대기 중이던 우리에게 판문점 도끼만행 사건은 결코 강건너 불이거나 남의 문제일 수 없었다. 그때 우리는 우리도 그 사건의 일부라고 느꼈다. 그런 경험은 천안함 침몰 사고를 전후로 전투준비상태로 대기하고 있던 북한군에게도 마찬가지이다. 물론 전투준비상태로 대기하고 있던 북한군 장병들은 천안함 침몰 사건과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다. 그러나 확전될 경우 바로 그들이 전투요원 당사자들이므로 그들의 인생에서는 일대 사건으로 기억되는 것이다.

따라서 만약 지금의 그 북한군이 여러 해 후 탈북하여 천안함 침몰 사건에 북한의 개입이 있었는지 여부에 대하여 증언한다면 그들이 경험으로 아는 사실, 즉 그때 그들은 전투준비상태로 대기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증언할 것이다. 우리는 광주사태에 대한 탈북자들의 증언도 이런 맥락에서 이해하여야 한다. 광주사태 당시 북한군은 집에서 휴가를 즐기고 있지 않았다.

그들은 모두 전투준비상태로 대기하고 있었다. 그 사실을 전 북한군 항공사령부 소속 여성고사포중대 중대장은 이렇게 증언한다: "이 시기에 북한은 인민군대와 민간교도대, 노동적위대와 심지어 중·고등학생들의 비 군사조직인 붉은청년근위대를 비롯해서 전 국민에게 준전시체제에 돌입하고 전쟁준비태세를 갖추도록 명령하였다" (화려한 사기극의 실체. p. 155).

1976년의 판문점 도끼만행 사건 때 전방에서 우리는 군화 끈을 묶은 상태로 병영 안에서 생활하며 출동명령이 떨어지기를 기다라고 있었다. 일단 출동명령이 떨어지면 고향으로 보낼 머리카락과 손톱만 남긴채 전투지로 부대 전체가 이동한다고 들었던 우리는 곧 전쟁이 터지는 줄만 알았다. 판문점 도끼만행 사건은 한국인이면 누구나 똑같이 겪은 사건이었다.

그때 우리는 부대 안에는 신문이나 라디오가 없었기에 대중매체로는 전혀 판문점 도끼만행 사건에 대해 듣지 못했지만 언젠가는 일어날 전쟁이 우리가 군복무하는 중에 일어나는 줄로만 알고 있었다. 그러나 나중에 사회 나와 물어보니 사회에서는 그 사건을 그저 하나의 뉴스거리로만 여기고 있었을 뿐 평상시와 다름없는 평온한 나날이었다고 한다. 동시대에 똑같은 사건을 겪었으되 이처럼 그 사건에 대한 전방의 군인들과 후방의 국민들의 경험은 전혀 달랐던 것이다.

자, 동시대에 남한사람들과 북한사람들이 천안함 침몰 사건을 겪었지만 사건 하루 전의 경험은 남북한에서 전혀 달랐다. 북한에서는 군인들이 "전투준비상태로 대기하라"는 명령을 받고 있었으나, 남한사람들은 여느날과 다름없는 날이려니 여기고 있었다. 그런 상황은 광주사태 전야에도 비슷했다. 단지 중국이 미국과의 경제 외교에 국운을 걸고 있었던 1980년 5월에는 김일성의 남침계획을 중국이 일본정부에 사전 통보하여 주어 한국 정부와 군 수뇌부에서는 북한의 군사동향을 조금 알고 있었다는 것이 다를뿐 민간사회에서는 여느날과 다름없는 평온한 날이었다.

그러나 2010년의 천암함 침몰 전야 때처럼 1980년 광주사태 전야 때도 북한군은 전투준비상태로 대기하고 있었다. 광주사태에 대한 탈북자들의 증언이 정확하다는 사실은 '전투준비상태'라는 용어는 군복무를 했던 우리도 처음 들어보는 용어이다. '전투준비상태'란 광주사테 전야에 북한에서 사용된 북한군사용어이다.

그리고 실제로 북한에 그런 군사용어가 있다는 사실이 이번에 4월 29일자 열린북한방송과 4월 30일자의 조선일보 보도로 확인된 것이다. 광주사태 전야의 전투준비상태에 대하여 위의 전 북한군 여성군관은 이렇게 증언한다:

북한인민군 주력전투부대의 해당부서와 단위들은 광주사건이 터지기 며칠 전부터 상급지휘부대로부터 광주라는 정확한 지역까지는 통보를 받지 못했지만 남조선에서 조만간 대규모의 사건이 터진다는 구체적인 지시를 하달 받고 전투준비상태에 만반을 기하고 있었다.

우리부대에서도 미그19~21전투기들에 대한 특별정비는 물론 훈련반경을 일상적인 훈련지역보다 남쪽방향으로 더 내려간 군사분계선 상공으로 확대했고 4대로 편성된 전투기 편대가 주야로 항상 관할지역에 대한 비행전투근무를 감당하게 조치했다. 격납고 안에서 대기상태에 있는 전투기들도 명령이 떨어지면 신속히 출격하여 전투에 임할 수 있도록 완전무장상태로 전투준비가 완벽하게 되어 있었다.

부대지휘관들과 전투기 조종사들, 정비사들과 민간노무자들까지도 집에서의 출퇴근이 금지되고 신발 끈을 묶은 상태로 병영 안에서 생활하며 지휘부로부터 출격명령이 떨어지기를 기다라고 있었다 (상게서 p. 156)

<화려한 사기극의 실체 5.18-자료발췌-역사학도>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메인페이지가 로드 됐습니다.
가장많이본 기사
뉴타TV 포토뉴스
연재코너  
오피니언  
지역뉴스
공지사항
동영상뉴스
손상윤의 나사랑과 정의를···
  • 서울특별시 노원구 동일로174길 7, 101호(서울시 노원구 공릉동 617-18 천호빌딩 101호)
  • 대표전화 : 02-978-4001
  • 팩스 : 02-978-8307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종민
  • 법인명 : 주식회사 뉴스타운
  • 제호 : 뉴스타운
  • 정기간행물 · 등록번호 : 서울 아 00010 호
  • 등록일 : 2005-08-08(창간일:2000-01-10)
  • 발행일 : 2000-01-10
  • 발행인/편집인 : 손윤희
  • 뉴스타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뉴스타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newstowncop@gmail.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