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대한제국 마지막 황후 순명황후(純明皇后) 민씨
 김민수_
 2013-09-30 10:54:37  |   조회: 3086
첨부파일 : -
대한제국 마지막 황후 순명황후(純明皇后) 민씨









http://blog.naver.com/msk7613









1904년 11월 22일 별단(別單)은 다음과 같다. 유강원(裕康園)은 왼쪽으로 돌아내린 주산 줄기가 건해(乾亥)방으로 뻗다가 축간(丑艮)방에서는 맥이 떨어졌으며 을진(乙辰)방에서는 골짜기를 이루고 갑묘(甲卯)방에서는 둔덕이 엇바뀌고 묘을(卯乙)방에서는 목이 모였다. 축간방에서 산정이 들려 묘을방에서 구릉을 이루어 묘(卯)방으로 맥이 들어오는 곳으로서 묘방을 등지고 앉아 유(酉)방을 향한 곳이다. 순명비궁(純明妃宮)은 임신생(壬申生)이므로 화일(火日)을 꺼린다. 그러므로 공사의 시작은 갑진년(1904) 10월 17일 정시(丁時)에 경(庚)방으로부터 착수한다. 풀을 베고 땅을 파는 것은 같은 날 미시(未時)에 하며 후토신(后土神)에게 고유제(告由祭)를 지내는 것은 같은 날 새벽에 먼저 지낸다.옹가(甕家)를 만드는 것은 11월 초이튿날 정시(丁時)에 하며 금정(金井)을 파는 것은 같은 달 14일 을시(乙時)에 하되 혈심(穴深)은 4자 9치로 한다. 영조척(營造尺)을 쓴다. 외재궁(外梓宮)을 모셔 내가는 것은 같은 달 22일 손시(巽時)에 하며 외재궁을 내려놓는 것은 같은 날 곤시(坤時)에 한다. 빈궁(殯宮)을 여는 것은 같은 달 28일 자시(子時)에 신(辛)방으로부터 착수하여 진행하며 발인(發引)은 같은 날 손시(巽時)에 한다. 빈소(殯所)를 차리는 것은 대여(大轝) 원소(園所)에 도착한 다음 적당한 때에 하며 원소에서 찬궁(欑宮)을 여는 것은 같은 달 29일 자시(子時)에 서방으로부터 착수해서 진행하며 진발(進發)은 찬궁을 연 다음 적당한 때에 하고 현궁(玄宮)을 광중에 내리는 것은 같은 날 묘시(卯時)에 한다.





12월 1일 고조 광무제가 칙령을 내리기를, “짐의 비통한 심정은 참으로 누르기 어려운 것이지만 발인 날짜가 멀지 않았으니 또한 다시 어떠하겠는가? 나라에 일이 있으면 기어와서라도 돕는 것이 원래 백성된 마땅한 도리이지만 순명비(純明妃)가 임종 때 나라와 백성을 위하는 간절한 말이 지극히 염려할 만한 것이며 금번 상여군들이 모진 추위에 분주히 뛰어다니는 데 대해서도 염려해주지 않을 수 없다. 특별히 삯을 주어 민력을 조금이나마 펴게 하여 비(妃)의 생전의 뜻을 위로하여야 할 것이다. 특별히 돈 6만 냥을 내려 보내어 총호사(總護使)와 궁내부 대신(宮內府大臣), 배왕 대장(陪往大將)이 적당히 나누어주어서 사랑하고 가엾게 여기는 지극한 뜻을 보여 주어라.”하고, 또 칙령을 내리기를, “금번 장례 때에 호위대(扈衛隊)가 등롱(燈籠)을 거행하고, 외에 1천 쌍을 더 마련하여 또한 해당 대(隊)로 하여금 거행하게 하라. 거기에 드는 물력(物力)은 마땅히 내하(內下)하도록 하라.”하였다.





12월 3일 장례원 경(掌禮院 卿) 조정희(趙定熙)가 아뢰기를, “순명비(純明妃)의 반우(返虞) 후 졸곡제(卒哭祭) 절차를 마땅히 마련해야 하겠기에 삼가 예기(禮記)의 상복소기(喪服小記)를 상고하니, ‘보장(報葬)하는 경우 앞당겨 우제(虞祭)를 지내고 석 달이 지나서 졸곡제를 지낸다.’라고 하였으며 ‘독례통고(讀禮通考)와 의례경전(儀禮經傳)의 졸곡조(卒哭條)에는 모두 상복소기의 글에 따라 주석을 달았다. 장례를 마치고 우제를 지내는 것은 귀신을 안정시키는 것이 급하기 때문인데 오히려 석 달을 기다려 졸곡제를 지내는 것은 차마 급히 할 수 없기 때문이다.’라고 하였습니다. 그러니 보장하는 경우 앞당겨 우제를 지내고 졸곡제는 예기에 규정된 달수를 기다려서 지내는 것이 예입니다. 금번 졸곡제는 오는 을사년(1905) 정월에 지내는 것이 예기에 맞을 것 같지만 일이 신중하므로 본원(本院)에서 감히 처리할 수가 없습니다. 시임 대신(時任大臣), 원임 대신(原任大臣), 지방에 있는 유현(儒賢)들에게 물어서 처리하는 것이 어떻겠습니까?”하니, 제칙(制勅)을 내리기를, “이미 예기의 글에 명백한 근거가 있으니 의견을 물을 필요가 없다. 아뢴 대로 마련하라.”하였다.







12월 15일 순명비(純明妃)에게 올리는 시호(諡號)를 태묘에 고하였다. 12월 16일 증시례(贈諡禮)을 끝낸 후 사면(赦免)을 반포하였다. 그 조문(詔文)에, “봉천승운황제(奉天承運皇帝)는 다음과 같이 칙령을 내린다. 예로부터 깨끗한 덕과 아름다운 행실로 여인들을 가르치며 풍속과 교화를 올바르게 시작하고 훌륭하다는 소문이 많이 나고 아름다움을 밝게 드리운 저비(儲妃)에게는 모두 훌륭한 시호를 주어 그의 한 생을 존숭하여 영원히 징험하여 사라지지 않게 하는 것은 나라의 떳떳한 법이다. 순명비(純明妃) 민씨(閔氏)는 이름난 가문에서 자랐으며 태어날 때에는 특이한 징후가 있었다. 천품이 부드럽고 온화하였으며 덕스러운 용모는 하늘이 준 것이었다.나의 원량(元良)과 배필이 된 뒤 며느리의 도리를 다하였다. 세 전하를 받들어 섬기면서 아침저녁 문안을 하고 음식을 보살피는 일을 삼가고 조심하여 항상 미치지 못하는 듯하였고 짐을 섬김에 있어서는 우선 뜻을 받드는 데 마음을 쓰면서 효성과 공경의 도리를 어기지 않았다.





여러 번 간고하고 험한 일을 당하여 혼잡 속에 경황 없는 때에도 올바른 처신을 잃은 일이 없다. 을미년(1895)의 참변을 당한 후부터 마음속에 지극한 슬픔을 안고 늘 눈물로 자리를 적셨다. 한가하게 집에 있을 때는 반드시 친히 서사(書史)를 보고 고금의 치란(治亂)을 논하니 그 식견이 뛰어나고 원대하였다. 외척(外戚)들을 제어하였고 무당이나 점쟁이들을 가까이 하지 않아 대궐 안이 늘 조용하고 화목하였다. 훙서(薨逝)하기에 임박해서도 오직 나의 몸을 보살피고 황태자(皇太子)가 덕을 닦는 데 힘쓰게 하였으며 나라와 백성이 태평해지기만을 기원했을 뿐 자기에 대한 말은 전혀 없었다. 아! 어질도다. 어진 이가 장수한다는 것도 믿을 수 없도다. 마침내 꽃다운 나이로 일찍이 갔으니 지극히 사랑하던 짐의 마음이 얼마나 비통하겠는가? 그 덕행을 영원히 전하기 위해 시호(諡號)를 주는 의식을 거행하는 것이 마땅하므로 삼가 태묘(太廟)에 고하고 이 해 음력 11월 9일에 ‘순명(純明)’이라는 시호를 내려주노라. 시호를 올리는 성대한 예식을 이미 거행하였으니 은혜를 널리 베풀어야 할 것이다. 시행하여야 할 사항을 조목별로 아래에 열거한다. 아! 현책(顯冊)을 칭양하고 온 나라의 공정한 논의에 따라 관조(寬條)를 반포하니 이는 태자비(太子妃)의 평소의 어진 마음을 따른 것이다. 온 나라에 널리 고하니 모두 알게 하라.” 하였다. 홍문관 학사(弘文館 學士) 서정순(徐正淳)이 지었다.





1905년 1월 3일 순명비(純明妃)의 영가(靈駕)가 원소(園所)를 향해 떠났다. 영성문(永成門) 안에 나아가 곡을 하면서 보냈다. 황태자도 모시고 참석하였다. 1월 4일 묘시(卯時)에 천전(遷奠)을 행하고 재궁(梓宮)을 현궁(玄宮)에 내렸다. 묘지문(墓誌文)에, “순명비(純明妃)의 성(姓)은 민씨(閔氏)이고 본(本)은 여흥(驪興)이다. 시조는 민칭도(閔稱道)라는 이인데 고려(高麗)에서 벼슬하여 상의 봉어(尙衣 奉御)가 되었다. 3대를 내려와서 민영모(閔令謨)라는 이가 있었는데 벼슬이 집현전 대학사(集賢殿 大學士) 상주국(上柱國) 태사(太師)였으며 시호는 문경공(文景公)이다. 4대에 내려와서 민종유(閔宗儒)라는 이는 벼슬이 대광 찬성사(大匡 贊成事)였으며 시호는 충순공(忠順公)이다. 문경공과 충순공은 고려의 역사에 전해지고 있다.





조선국에 들어와서 민심언(閔審言)이라는 이는 개성부 유수(開城府 留守)였고 민충원(閔沖源)이라는 이는 은일(隱逸)로서 집의(執義)로 있었다. 3대를 내려와서 민제인(閔齊仁)이라는 이는 좌찬성(左贊成)이었으며 또 그로부터 4대에 내려와서 민광훈(閔光勳)이라는 이는 관찰사(觀察使)였으며 영의정(領議政)에 추증되었다. 또 민유중(閔維重)이라는 이는 우리 인현왕후(仁顯王后)를 낳아 여양부원군(驪陽府院君)에 책봉되고 영의정으로 추증되었으며 시호는 문정공(文貞公)인데 나라의 기둥이고 사림(士林)의 모범이었으므로 후에 효종(孝宗)의 묘정(廟廷)에 배향되었다. 또한 민진원(閔鎭遠)이라는 이는 좌의정(左議政)으로 시호는 문충공(文忠公)이며 한결같은 충성과 밝은 의리로 나라에 공로를 세웠으므로 영조(英祖)의 묘정에 배향되었다. 민형수(閔亨洙)라는 이는 관찰사로 영의정에 추증되었는데 이 사람이 바로 순명황후의 5대조이다. 고조부(高祖父)인 민백상(閔百祥)은 우의정(右議政)으로 시호가 정헌공(正獻公)인데 세상에서 신사년(1761)의 세 정승이라고 칭하는 이들 중의 한 사람으로서 장조(莊祖)의 묘정에 배향(配享)되었다. 증조부(曾祖父)인 민홍섭(閔弘燮)은 이조 참판(吏曹 參判)이었고 좌찬성(左贊成)에 추증(追贈)되었다. 조부(祖父)인 민치삼(閔致三)은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아버지인 민태호(閔台鎬)는 행 좌찬성(行左贊成), 대제학(大提學)이었고 영의정에 추증되었으며 시호는 충문공(忠文公)인데 사림의 영수로서 나라에 충성을 다하였다. 전모(前母)는 정경부인(貞敬夫人)으로 추증된 윤씨(尹氏)인데 부사(府使) 윤직의(尹稷儀)의 딸이고, 어머니는 정경부인 송씨(宋氏)인데 목사(牧使)로 내부 협판(內部 協辦)에 추증된 송재화(宋在華)의 딸이며, 계모(繼母)인 정경부인 남씨(南氏)는 의관(議官) 남명희(南命熙)의 딸이다.





송씨가 임신년(1872) 10월 20일 신미일(辛未日) 술시(戌時)에 경사(京師)의 양덕방(陽德坊) 계동(桂洞)에 있는 집에서 순명황후를 낳았는데 잠자리에 든 그날 저녁에 연기 같기도 하면서 안개는 아닌 오색구름이 집 주위를 휘황히 둘러싸서 수십 보 거리에서는 사람이 영롱한 채색 옷을 입은 것처럼 보여 한참 동안 흩어지지 않았으므로 이웃들이 모두 기이하게 여겼다. 순명황후는 천성이 유순하고 화기로웠으며 덕스러운 용모를 타고났다. 어릴 때부터 행동이 법도에 맞았으므로 집에 드나드는 일반 부녀들도 한 번 보기만 하면 누구나 다 범상하지 않다는 것을 알았다. 순명황후는 총명하고 슬기로워 어린 시절부터 소학(小學)이나 여칙(女則)과 같은 여러 가지 책들을 읽었는데 모사(姆師)가 그 대의를 해설하자마자 어느새 깊은 뜻을 파악하곤 하였다.또한 침착하고 조용한 성품에 말이 적었고 덤비는 일이 없었다. 조무래기들이 앞에서 무리지어 놀면서 참을 수 없을 만큼 심하게 떠들어대더라도 말투와 낯빛에 싫어하는 기색을 나타내지 않고 차근차근 일깨워주어 스스로 물러가게 하였다. 언젠가는 쌀 한 말을 손으로 어루만지며 말하기를, ‘우리 집 식구가 이 낟알 수만큼 되어야 할 것이다.’라고 하였으니 그의 도량은 벌써 그만큼이나 컸다. 임오년(1882)에 빈(嬪)으로 뽑혀 별궁(別宮)으로 들어가기에 앞서 가묘(家廟)에 하직 인사를 올리면서 차마 떠나가지 못할 듯이 슬퍼하였다. 자기 방으로 들어올 수 없는 친척들을 불러다 이별하였는데 헤어지기 슬퍼하는 그의 심정은 사람들의 감탄을 자아내게 하였으니 이 것은 어린 나이에 누구나 할 수 있는 일이 아니었다. 2월 19일 을해일(乙亥日)에 세자빈(世子嬪)에 책봉되고 21일에 가례(嘉禮)를 하였으며 정유년(1897)에는 황태자비(皇太子妃)에 책봉되었다. 대궐에 들어와서부터는 세 분의 전하를 한결같이 섬겼으며 문안하는 일과 음식을 보살피는 데 혹시 미흡한 점이 있지 않나 걱정하면서 빈구석이 없도록 알뜰하게 하였다.





짐(朕)은 그가 연약한 체질에 수고하는 것이 걱정스러워 몸에 조금이나마 불편한 증세가 있을 것 같으면 사침(私寢)에서 푹 쉬면서 몸조리를 하게 하였다. 그러나 추운 겨울에 새벽에 일어나 세수를 하고 몸단장을 하였고 무더운 여름에 반드시 성복(盛服)을 하였다. 밤이 되면 꼭꼭 곁에 와서 화락한 분위기를 조성하고 즐겁게 하여 주었는데 생각을 앞질러가면서 받들어주기를 마치 두 손과 같이 하였다. 짐으로서는 어린애를 대하듯이 살뜰히 보살피고 사랑해 주었는데 효성은 갈수록 지극하여질 뿐 게을러지는 때가 없었으니, 가풍이 서 있는 가문에서 훈계를 받은 것이 있는 데다 타고난 미덕까지 있었으므로 권면하지 않아도 절로 그렇게 되었던 것이다. 어려운 일이 많이 있던 때였던 관계로 여러 차례 험난한 일을 겪었으나 순명황후는 그때마다 일을 처리하면서 행동을 바르게 하였다. 부정 세력이 맹렬히 퍼지며 날뛰던 때에 궁인(宮人)들이 몽땅 허둥지둥 어찌할 바를 몰라 하자 순명황후는 경계하여 말하기를, ‘마음이 바르지 않고 생각이 똑똑하지 않으면 아무런 일이 없을 때에도 잘못을 저지를 수밖에 없거늘 하물며 다급하고 위태하여 조금만 잘못을 저질러도 나라가 어김없이 망하는 경우에야 더 말할 것이 있겠는가?’라고 하였다. 갑신년(1884)에 충문공(忠文公)이 간사한 무리들에게 피살되었을 때 전궁(殿宮)이 파천(播遷)하였는데 순명황후는 예법대로 거애(擧哀)하지 못하는 것을 매우 통탄해하였다. 경인년(1890)에 신정왕후(神貞王后)가 승하(昇遐)하자 아침과 저녁의 제전(祭奠)에 비는 꼭 곡을 하며 너무도 슬퍼하면서 마치 의지할 데 없어진 사람처럼 황황해하였다.





을미년(1895)에 이르러 흉악한 무리들이 대궐을 침범하였을 때 순명황후는 명성황후(明成皇后)를 보호하다가 그만 흉악한 무리들에게 앞길이 막혔으며 끝내 천고에 있어본 적이 없는 큰 참변을 당하였다. 순명황후는 또 기막혀 쓰러지고 반나절이 지나간 다음에 시녀에게 전하와 황태자의 안부를 물어보고는 그길로 눈을 감은 채 깨어나지 못하였고 구급약을 갖추어 치료해서 새벽에야 소생하였다. 순명황후는 이로 말미암아 언제나 마치 젖어미를 잃은 젖먹이마냥 정신없이 지냈으며 때로는 한창 음식을 들다가도 한숨을 쉬고는 슬픔에 겨워 목이 메곤 하였고 옷과 베개, 이불을 하염없이 흐르는 눈물로 적셨다. 짐이 가엾게 여겨 갈수록 더욱 어루만져 주고 위로의 말로 타일러 주어 만류하면 순명황후는 일부러 기쁨이 어린 낯빛을 짓고 짐더러 지나치게 마음을 쓰지 말라고 권고하기까지 하였지만 항상 슬픈 내심이 얼굴빛에 자연히 어리는 것을 가릴 수는 없었다. 평소에 순명황후를 보살펴 준 명성황후의 사랑이 비록 그의 골수를 적실만 한 것이기는 하였지만 갈수록 더욱 그리워한 것은 역시 천성적으로 효성을 다하려는 마음을 지녔기 때문이었다. 순명황후는 궁중 출입을 엄하게 단속하였으므로 부르지 않으면 친척들이 감히 마음대로 들어올 수 없었다. 항상 옛글을 읽었고 거기에서 교훈으로 될 만한 것들은 그 요점을 구절구절 적어서 궤에다 보관하고 남에게 내보이지 않았다. 필체는 굳세고도 단정한 것으로서 마음을 반영한 것이므로 배워서 할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아랫사람을 어진 마음으로 대해주면서 온정을 많이 베풀었고 때로 잘못을 저지르는 사람이 있으면 꾸짖는 대신 그저 다시는 그러지 말게만 하였으므로 누구나 감복하여 감히 속이는 일이 없었다.





각성시켜 주는 말 한 마디가 매를 치는 것보다 더 위엄스러웠고 늘 여러 아우들에게 사치를 부리는 버릇이 없도록 하였다. 그러면서 말하기를, ‘우리 집안은 대대로 청렴한 덕을 지키면서 오늘까지 왔다. 그 미풍을 훌륭히 고수하여 선대에 누를 끼치지 말아야 옳을 것이다.’ 라고 하였다. 본 가에 편지를 보낼 때에는 안부를 묻는 것 이외에는 더 다른 말이 한 마디도 없었고 어쩌다 뵙기를 간청하는 이가 있으면 말하기를, ‘나의 친척으로서 이 모양으로 청탁질을 하니 다른 사람이야 어떠하겠는가?’라고 하였다. 궁인(宮人)이 혹 말하기를, ‘무당이나 점쟁이도 신령스러운 것이 많아 화를 복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라고 말을 하면 비는 웃으면서 말하기를, ‘너희들은 어리석기 그지없다. 화와 복은 원래 분수가 정해져 있다. 기도를 드린다고 해서 해결된다면 세상에 어찌 가난한 사람이나 일찍 죽는 사람이 있겠는가?’라고 하였다. 순명황후는 일찍이 고금(古今)의 치란(治亂)에 대해 말하면서 이르기를, ‘요 임금과 순 임금이 이룩한 태평 시대는 물론 쉽사리 이룩하여 낼 수 없겠지만 옛날의 훌륭한 임금들이 하던 대로 해나가면 어느 정도 태평한 시대를 이룩할 수 있는데 이것은 힘쓰기에 달려 있다.’라고 하였다. 이렇듯 그의 심원한 식견은 규방의 여자로서는 미칠 수 없는 경지였다. 순명황후는 이 해 8월부터 병상에 누웠다. 짐이 직접 가볼 때마다 고통스럽게 몸을 움직이지 말라고 당부하였으나 반드시 옷매무새를 바로잡곤 하였다. 바야흐로 몸이 위태로워지는데도 오히려 부축하여 일어나 앉았으며 손을 잡고서 말하기를, ‘성체(聖體)를 중하게 보존하고 백성과 나라가 태평하였으면 하는 것이 가슴속의 소원입니다.’라고 하였다. 순명황후는 9월 28일 술시(戌時)에 경운궁(慶運宮)의 강태실(康泰室)에서 세상을 떠나고 말았다.





아, 슬프다! 또 어디서 얻는단 말인가? 초상부터 습렴(襲斂)·교금(絞衾)을 모두 자내(自內)의 예(例)로 마련했는데 비가 평소에 절약을 숭상한 것을 생각하여 낭비를 줄인 것이다. 옛날의 시법(諡法)을 상고하여 보면 바르고 정한 것은 ‘순(純)’이라고 하고 사방에 빛나는 것을 ‘명(明)’이라고 하므로 시호는 ‘순명(純明)’이라고 하였으며, 원호(園號)는 ‘유강(裕康)’이라고 하고 전호(殿號)는 ‘의효(懿孝)’라고 하였다. 양주(楊州) 용마산(龍馬山) 내동(內洞)의 묘좌원(卯坐原)에 복조(卜兆)하고 이제 11월 29일 계묘일(癸卯日) 묘시(卯時)에 그곳에다 장사를 지내려 한다. 아, 슬프다! 순명황후의 순정하고 효성스러운 행실과 아름다운 말과 훌륭한 계책은 여인들의 본보기로 내세울 만한 것들이건만 여사(女史)가 쓴 것과 본 가에서 적어 들여온 것은 겨우 열 중의 한둘 밖에 안된다. 그래서 짐이 슬픔으로 정신을 차릴 수 없는 가운데 위와 같은 내용을 모아서 갑진년(1904) 음력(陰曆) 동짓달에 직접 기록하였다. 이상은 어제(御製) 행록(行錄)이다.”





“아! 효성스럽고 순하며 공경스러운 것이 순명황후의 덕이고, 유순하고 곧으며 고요한 것이 비의 성품이다. 기쁨을 드리는 속에서 사랑을 받았고 화목하게 지내는 가운데서 충고도 주었다. 애써 화락한 분위기를 조성하여 폐하가 즐거워하기에 만 년의 복락을 길이 함께 누려 가리라고 생각하였으니, 갑자기 오늘 같은 날이 올 줄이야 어떻게 알았겠는가? 우리 부황 폐하께서는 비를 가엾이 여기고 슬퍼하는 마음이 끝없어 곡을 할 때마다 옥음(玉音)이 밖에서 들렸고 비의 지난 날의 생활에 대해 말할 때에는 어느새 눈물이 하염없이 흐르곤 하였다. 무릇 상례(喪禮)는 옛 규례에 따라 반드시 최선을 다하는 한편 성인(聖人)이 인정을 고려하여 원칙에 부합되게 조절한 것처럼 하기도 한 것은 실로 우리 가문에서 변함없는 법으로 삼아오는 것이다. 게다가 폐하가 슬픔에 잠겨 지내는 가운데 직접 지은 비의 행록은 확연한 사실대로 기록한 것으로서 말은 간명하고 의리는 엄정하며, 내하(內下)한 행록을 그대로 묘지문으로 쓰는 것도 전례가 있는 일이다. 재궁의 상자(上字)도 폐하께서 직접 쓴 것으로서 은하수의 빛발이 모인 것 같아 땅속에서도 환하게 비칠 것이니 앞으로 저승에서도 감격의 눈물을 흘릴 것이다. 아! 내가 또 무슨 말을 더 하겠는가? 본 가에서 기록한 사적들은 궁중 안의 일에 대해서는 낱낱이 알 수 없는 것이기는 하나 어렸을 때의 일들은 옛날의 종들이 전하여 궁인(宮人)들이 많이들 말을 하는 것이다. 한창 재롱스레 노닐던 철 이른 시절의 소소한 일들과 평범한 사실들일지라도 그것을 통해서 그의 지취(志趣)를 엿볼 수 있겠기에 여인들의 모범으로 될 수 있는 것들을 들은 대로 모았으니 아마 기록하는 데 보탬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순명황후는 어렸을 때부터 행동이 단정하였으며 침착하고 조용하여 말이 적었으므로 남들과 함께 있을 때에도 남이 물어보기 전에 제가 먼저 남에게 말하는 일이 드물었다. 책상 앞에 앉아 책을 읽을 때에는 오로지 마음을 가라앉히고 정신을 집중하여 익혀 나갔으며 문 밖으로 목소리가 울려나오는 일이 없었다. 혹 사람들이 ‘책을 읽을 때에는 반드시 입에 올려 많이 읽어야만 글 뜻이 자연히 나타난다.’라고 말을 해주면, 순명황후가 말하기를, ‘나는 늘 스스로 읽는다.’라고 하였다. 그러고는 곧 책을 잡고 검열해보게 하였는데 마치 물이 흐르는 것과도 같이 배송(背誦)하여 한 자도 틀리는 것이 없었다. 소학(小學)을 공부할 때에 모사(姆師)가 언해(諺解)에 의거하여 그 대의(大義)만을 이야기할 뿐 심오하고 미묘한 뜻을 살피지 못했는데 순명황후는 곧 여러모로 따지고 근사한 일을 가지고 비유해서 사람들이 쉽게 이해하게 하였다. 간혹 본뜻에 꼭 들어맞지 않는 경우라 하더라도 곧 생각해 내고 민첩하게 깨우쳐서 힐난할 여지가 없었다. 그래서 가인(家人)들이 하는 말이, ‘스승이 제자를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제자가 스승을 가르친다.’라는 것이었다. 빈으로 뽑혀 별궁으로 들어갈 때에는 오직 화장품함과 한 부의 소학뿐이었는데 소학을 섭렵하며 열심히 공부하다가 밤이 깊어서야 자리에 들었다. 그러하여 집안사람이 식견 있고 경험도 있는 늙은 궁인(宮人) 한 명을 불러다가 입궁(入宮)하여 응대하고 만나보는 절차들을 이야기하게 해서 그 것을 한 통 기록해두고 익혀나갈 것을 청하자 순명황후가 말하기를, ‘모두 이 책에 있는 만큼 물어볼 필요가 없다.’라고 하였다. 그리고 ‘공경하지 못한 것이 없어야 한다.’는 말을 항상 마음속에 간직하고 있어서, 설사 꼭 들어맞지 않는 경우라 하더라도 그리 어긋나지는 않았다.





입궁한 뒤에는 행동과 얼굴 빛이 법도에 알맞게 단정하였으며 세 분의 전하를 섬기어 새벽과 저녁마다 미흡한 구석이 있을세라 잠자리와 음식을 극진히 보살피면서 매일 밤이 깊어진 다음에야 사침(私寢)으로 돌아가곤 하였다. 어떤 때에는 시립(侍立)한 채로 진종일 보내거나 한밤을 다 지새우다가 부황 폐하가 그의 수고를 염려하여 쉬라고 명해야만 물러나왔다. 그러고서도 또 여러 가지 책들을 보곤 하기에 내가 권하면서 ‘곤하지 않으시오?’라고 하였더니 순명황후가 말하기를, ‘좋아서 하는 일은 피곤한 줄을 모르는 법입니다.’라고 하였다. 간혹 몸이 불편하여 잠꼬대를 하면서 신음 소리를 내곤 하였지만 그래도 꼭꼭 이른 새벽에 일어나서 성복을 하고 아침 문안을 하였으며 감히 지친 기색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 것은 충문공이 오랜 집안의 가풍에 의거하여 여인들이 지켜야 할 법도를 조정의 규범마냥 엄격하게 세운 결과 어린 나이에도 그러한 것들이 가정 교육을 통해서 몸에 완연히 배었기 때문이다. 임오년(1882)에 난병(亂兵)들이 대궐을 습격하여 전궁이 파천하였을 때에는 명성황후(明成皇后)의 행처(行處)를 몰랐는데, 순명황후는 음식을 대할 때마다 맨밥만을 들면서 고기 반찬을 입에 대지 않았으며 밤이 되면 반드시 노정(露庭)에서 하늘에 빌곤 하였다. 이불을 덮지 않고 옷을 입은 채로 쪽잠에 들곤 하였는데 명성황후를 맞이하는 날까지 계속 그렇게 하였다.





갑신년(1884) 여러 흉악한 무리들의 변란 때에 거가(車駕)가 자리를 뜨고 내가 신정왕후(神貞王后)와 성모(聖母)를 모시고 동성(東城) 밖으로 피하였었는데 순명황후는 밤에 소교(小轎)를 타고 액예(掖隷) 하나를 따라서 각심사(覺心寺)에 이르렀다. 성모(聖母)께서 전교하시기를, ‘나는 물론 여러 역적들의 사특한 행위가 있으리라는 것을 의심하였다. 다만 이 무리들만을 처단하면 저절로 무사해질 것이다.’라고 하였는데 얼마 후에 과연 역적들이 평정되었으므로 순명황후는 늘 말하기를, ‘우리 성모의 명석한 견해는 사람들이 미처 생각지 못한 바이다. 역적들이 난리를 일으키기 전에 벌써 난리가 일어났을 때의 일을 염려하였으니 아무리 옛날의 명철한 왕후라 하더라도 이를 능가하지는 못할 것이다.’라고 하였다. 처음에 순명황후는 충문공이 살해되어 쓰러졌다는 소식을 듣고 외마디 소리를 지르고는 슬픔에 겨워 낯이 까맣게 질려가지고 머리를 숙이고 얼굴을 손으로 싸쥐었다. 성모가 한 번 울음을 터뜨려보지도 못하는 그를 가엾게 여기자, 순명황후는 대답하기를, ‘왜 아버지에 대한 슬픔이 없겠습니까? 하지만 위태롭고 간고한 이런 경황에서 어찌 감히 개인적인 감정을 표현할 수 있겠습니까?’라고 하였다.





을미년(1895)의 난리 때에 순명황후는 성모를 막아나서 보호하다가 역적들에게 앞길이 막혀 그만 발이 미끄러져 떨어지는 통에 허리를 상한 것이 그대로 고질병으로 되었다. 천하 만고에 있어보지 못한 큰 참변을 당한 때로부터 순명황후는 늘 의식이 혼미하여 어지러웠으며 꿈속에서도 간혹 흐느끼다가 ‘아무개가 여기에 있다.’라고 하고는 깜짝 놀라 깨어나서 눈물을 하염없이 흘리는가 하면 울음을 삼키면서 어깨를 들먹이곤 하였다. 간혹 교교한 정적이 깃든 밤의 전각에 등불 빛이 은은하게 흐를 때 마치 무엇을 보는 것 같았으니, 지성으로 애통해하고 그리워한 나머지 망자의 혼이 그 효성과 사모하는 마음에 감응하였던 것이리라. 아, 내가 자식으로서 상사를 당한 슬픔을 어찌 감히 한 순간인들 잊으랴만 그럭저럭 세월이 흘러 몇 해가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서로 대할 때마다 슬픔에 겨워 순명황후가 말하기를, ‘김홍집(金弘集)과 김병하(金炳夏)는 이미 처단되었으나 송길준(宋吉濬)과 이희연(李羲淵)의 무리는 아직도 도망간 채 잡히지 않고 있는데 강한 이웃 나라의 위협을 받아 목을 베지 못하고 있습니다. 해와 달이 비치면 서리는 녹고 이슬은 떨어지기 마련입니다. 마땅히 부모를 무시하고 임금을 무시하는 나라는 없어야 하는데 죄수를 도망가게 내버려둔 나라의 주인이 되어 천하에 대하여 큰 의리를 잃었으니, 이 역시 나라에 사람이 없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도 하나의 국가인데 어찌 한두 명의 혈기 있는 대장부가 없겠습니까? 장검(杖劍)을 가지고 가서 춘추(春秋)의 의리를 밝히면 저들은 필경 할 말이 부족할 것이고 그러면 여러 흉악한 역적들이 스스로 저들의 머리를 바칠 것입니다. 그러나 한 명의 사내가 밤중에 덮쳐가지고 칼로 찌르는 것과 같은 것은 간사한 자객의 행위로서, 죄를 엄격히 다스려 나라의 법으로 처단하는 것이 아니니 나라의 원수를 갚기에는 부족한 것입니다.’라고 하였다. 말하는 태도는 강개하였으나 몇 줄기 눈물을 흘렸다. 그래서 나는 저도 모르게 실심하여 ‘나의 죄이다.’라고 하였다.





순명황후는 본가(本家)에 계칙(戒飭)하기를, ‘모자라는 현상은 절약하지 않는 데서 생기고 절약하지 않는 현상은 사치를 부리는 데서 생긴다. 사치를 부리는 폐습은 반드시 곤궁한 지경에로 몰아넣어 못하는 짓이 없게 하는 것이니 어찌 두렵지 않겠는가? 한도가 있는 재물을 가지고 무한정 쓰려들면 설사 날마다 천(千)으로 늘이고 만(萬)으로 늘인다 하더라도 부족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제품(祭品)이란 오직 깨끗이 해야 할 뿐 덮어놓고 풍성하게 하려고만 애쓴다면 그것은 정성을 다하여 공경하는 것이 아니다.’라고 하였다. 어쩌다가 친척들이 바치는 것이 있으면 곧 물리치면서 말하기를, ‘내가 어떻게 사사로운 저축을 하겠는가?’라고 하였으며 본 가에서 편지를 들여보내는 것이 있으면 그저 안부를 물은 대목만 보고는 곧 접어서 상자 안에 두고서 말하기를, ‘자질구레한 문제는 한갓 사람의 마음이나 어지럽힐 뿐이므로 볼 필요가 없다.’라고 하였다. 언젠가는 예나 지금의 정사의 잘잘못에 대하여 논하면서 말하기를, ‘요 임금과 순 임금이 천하를 다스린 것을 보아도 특별한 방법은 없었다. 단지 좋지 않은 일을 하지 않았을 따름이다. 좋지 않은 일을 하지 않는 것이 바로 좋은 점이다. 그렇게 하였을 따름인데도 후세에 그런 경지로 오르지 못하는 것은 당요(唐堯)나 우순(虞舜)처럼 한결같이 해나가지 못하여 적으나마 좋지 않은 점을 빚어내었기 때문이다. 좋은 일이 전혀 없는 것은 위태로운 징조이지만 억지로라도 정신을 가다듬고 오직 한마음으로 잘 다스리기 위해 노력하면 당요나 우순이 이룩한 태평시대에까지는 이르지 못한다 하더라도 어느 정도로 편안한 시대는 이룩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하였다.





순명황후는 평소에 글씨에 대하여 그리 마음을 두지 않았으나 필치가 굳세어 마치 솜 속에 바늘이 박혀 있는 듯 하였으며 아무리 작은 종이라 하더라도 버리지 않고 붓이 가는 대로 글을 썼다. 그의 단정한 천품은 이것을 통해서도 볼 수 있다. 하지만 남에게 보여주기를 좋아하지 않아 필적도 많이 보존된 것이 없고 가끔 치장함과 같은 데서 조각이나 얻을 수 있을 정도이니 어찌 애석함을 누를 수 있겠는가? 순명황후는 병상에 누워있을 때에도 나를 대할 적마다 반드시 의지하여 일어나 앉아 옷매무새를 바로잡곤 하였다. 병이 극도에 이르렀는데도 오히려 정신은 깨끗해서 나에게 권하기를, ‘태묘(太廟)와 사직(社稷), 백성들을 부탁받은 중책이 오직 전하에게 달려 있으니 우리 황제의 훌륭한 정사를 도와 만년무강하기 바랍니다.’라고 하였을 뿐 본 가의 일에 대해서는 한 마디 말도 하지 않았다. 아, 순명황후의 재주와 덕은 하늘이 준 것인데 수명만은 주지 않았으니, 아, 애석하다. 광무(光武) 8년 갑신년(1884) 음력(陰曆) 동짓달에 지었다. 이상은 예제(睿製) 행록(行錄)이다.”하였다.





“신 이근명(李根命)은 삼가 순명비(純明妃) 지문 제술관(誌文 製述官)의 명을 받들었습니다만 신이 어찌 감히 이런 임무를 감당해 낼 수 있겠습니까? 두렵기 그지없어 몸 둘 바를 알지 못하겠습니다. 또 삼가 조지(詔旨)를 받드니, ‘행록(行錄)을 지문(誌文)으로 그냥 쓰는 것은 전례가 있다. 이제 행록을 내려 보내니 지문의 내용에 포함시킬 것이다. 동궁 또 자신이 보고 들은 것들을 모아 한 통 엮었으니 아마 미흡한 구석을 메워 보다 세밀하게 되어 아름다운 덕과 꽃다운 계책들도 후세에 길이 전하기에 유감이 없을 것이다. 그러니 지문의 뒤에다가 다같이 새겨넣는 동시에 제술관에게 그 사실을 상세히 기록해서 그 아래에다 첨부하게 하라.’고 하였습니다. 신은 인사를 올린 다음 머리를 조아리고 공경스러운 마음으로 받아가지고 경건한 심정으로 읽어보았는데 삼가 흠모와 경탄을 금할 수 없습니다. 생각건대 하늘과 땅 사이에는 이른바 ‘이(理)’라는 것이 있고 ‘운수’라는 것이 있습니다. 지금 음양오행(陰陽五行)의 기(氣)가 밤낮으로 천지(天地) 사이에서 돌고 있습니다. 그런데 맑은 것과 흐린 것, 순수한 것과 잡스러운 것 등 서로 구별이 있어서 기를 받고 태어나는 사람은 자기가 받은 기에 따라서 그렇게 되기 마련입니다. 만일 맑고 깨끗한 기를 받고 태어난 사람이라면 타고난 천성이 반드시 어질고 명철하며 복락을 누림에 있어서도 명예와 장수를 다같이 누립니다. 이 것은 ‘이’의 정상적인 발현입니다. 그렇지만 사람마다 다 그렇게 되지는 않습니다. 어질고도 명철한 천품을 타고났지만 복락을 누림에 있어서는 간혹 명예는 누리면서도 장수는 누리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것은 운수의 변화인 것입니다.





순명황후는 충성스럽고 곧은 가문에서 태어났고 총명하고 어진 성품을 타고났으며 유순하고 공손할 뿐 아니라 무슨 행동이나 법도에 들어맞아 우리 황태자 전하의 짝으로 되어 지금껏 20여 년 동안 말없이 내조한 것이 매우 많습니다. 밤낮으로 받들어 세 분 전하의 마음을 감동시켰고 춘추(春秋)의 의리는 을미년(1895)에 절통하게도 깊었는데 어려운 형편에 처할수록 더욱 곧았습니다. 아랫사람들을 어진 마음으로 대해주고 친척을 통제하며 미신을 배척하였고 옛 글들을 즐겨하며 옛 사람들의 교훈을 명심하고 정사의 원칙을 환히 통달하였으며 기회가 있으면 요 임금과 순 임금을 찬양하곤 하였습니다. 지어 글을 쓰는 것과 같은 일도 배우지 않았지만 능하였습니다. 대체로 하늘은 비범하고 뛰어난 천품을 지닌 사람을 우리나라에 주어 상서로운 일들을 많이 하게 해서 만세토록 번창할 나라의 행운을 불러오도록 하였는데 어찌하여 하루아침에 갑자기 불치의 병에 걸려 끝내 중년 나이도 되기 전에 한생을 마치는 것입니까? 아, 어질고도 명철할 뿐 아니라 명예까지 지니었음에도 불구하고 장수만은 누리지 못하였으니 이것은 무엇 때문입니까? 앞에서 말한 운수라는 것이 아니겠습니까? 순명황후와 같이 하늘로부터 목숨을 받아 안고 태어난 사람이 어찌하여 ‘이’의 정상적인 경지에로 나아가지 못하고 기어이 운수가 변하는 데로 나아가는 것입니까? 아! 통탄할 노릇입니다.





생각건대 우리 황상 폐하는 두터운 자애심으로 끝없이 슬퍼하면서 상사(喪事)와 관련된 모든 예(禮)를 최선을 다하여 치렀고 또 명성황후의 지문(誌文)을 쓰던 때처럼 직접 행록을 지어 지문으로 삼게 함으로써 온갖 의행(懿行)을 대서특필하여 세상에 밝혔습니다. 그리고 우리 황태자 전하도 슬픈 마음으로 뒤이어 글을 지었는데 확연한 실적으로 앞뒤를 밝혔습니다.이제부터는 규중에서 닦은 비(妃)의 미덕과 아름다운 행실이 온 세상에 전파되어 천하에 빛을 뿌려서 영영 천하 후세의 후비들의 규범으로 되었으니 이 것은 순명황후의 일생이 비록 33세로 끝났지만 그의 꽃다운 명예는 천지와 더불어 영원무궁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아! 아름답습니다. 이제야 사람에게 있는 하늘의 이치는 사라지지 않고 빛난다는 것을 알겠으니 이른바 운수라는 것이 논할 만한 것이겠습니까? 신은 지문을 읽고 나서 슬픔을 더욱 금할 수 없어 몇 마디 말을 간단히 엮어 뒤에다 첨부하기는 하였습니다만, 식견이 부족하고 말이 졸렬하여 순명황후의 덕행을 만 분의 일도 그려내지 못했으므로 실로 부끄럽고 두렵습니다.” 하였다. 의정(議政) 이근명(李根命)이 지었다.





2월 12일 종정원 경(宗正院 卿) 이지용(李址鎔)이 아뢰기를, “순명비(純明妃)의 졸곡제(卒哭祭)가 이미 지났으니 세상을 떠난 연월일과 시호(諡號), 원호(園號)를 마땅히 선원보략(璿源譜略)과 국조어첩(國朝御牒)에 기재해야 하는데 이전에 선원보략을 고칠 때에는 혹 관청을 설치한 예도 있지만 본 원에서 거행한 예가 많습니다. 지금 선원보략 수정한 것을 아직 올리지 않았는데 이번에는 어떻게 하겠습니까?”하니, 제칙(制勅)을 내리기를, “똑같이 거행하라.” 하였다.6월 22일 장례 경 서리(掌禮 卿 暑理) 이우면(李愚冕)이 아뢰기를, “봉상사(奉常司)의 보고를 받아보니 순명비(純明妃)의 연주(練主)를 조성하고 봉안(奉安)할 곳을 미리 품정(稟定)해야 한다고 하였습니다. 그래서 등록(謄錄)을 가져다 상고해보니 전에는 국휼(國恤) 때 연주를 하고 봉안할 곳을 으레 비어있는 궁전으로 하였습니다. 이번에는 조성하고 안치하는 곳을 어느 궁전으로 하여야 하겠습니까?”하니, 제칙(制勅)을 내리기를, “근정전(勤政殿)으로 하라.” 하였다. 8월 8일 종2품 김완수(金完秀)를 순명비(純明妃) 연제(練祭) 때의 제주관(題主官)에 임명하였다.
2013-09-30 10:54:37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자유게시판
#번호 제목 작성자 첨부 날짜 조회
공지 [공지] 뉴스타운 자유게시판 이용 안내 (1)HOT 뉴스타운 - 2012-06-06 195683
450 티코의 일갈HOT 오댕궁물 - 2015-01-13 3807
449 박정희대통령각하 동상 100개 세우자 (1)HOT 진실한 역사 - 2015-01-13 3976
448 이인좌 등이 무신년에 밀풍군을 추대하여 일으킨 무신지변(戊申之變)HOT 김민수 - 2015-01-12 3991
447 단묘조(端廟朝) 6신사(六臣祠) 단묘조(端廟朝) 6신묘(六臣墓) 명칭변경 재지정해야HOT 김민수 - 2015-01-12 3730
446 마음을 비우면 길이 보일것이다. (1)HOT 오댕궁물 - 2015-01-12 3737
445 햐 박지원이 다시봐야긋다 (1)HOT 오댕궁물 - 2015-01-11 3905
444 고례국(高禮國) 발해국(渤海國) 영토 계승한 대한국(大韓國:1897- )HOT 김민수 - 2015-01-08 3918
443 광무제(光武帝 :1897-1919) 묘호(廟號) 고조(高祖) 개제주(改題主)해야HOT 김민수 - 2015-01-06 3970
442 경상북도 칠곡(漆谷)은 역사 지명 팔거(八莒) 환원해야HOT 김민수 - 2015-01-06 4165
441 왜관(倭館) 난출(闌出)HOT 김민수 - 2015-01-06 3898
440 무형문화재원 아태무형센터 한국문화재재단 국외문화재재단 국민신탁 통합해야HOT 김민수 - 2015-01-05 4072
439 유력 인사 및 직원의 가족 채용한 문화부 문화재청 비위 공무원 수사해야HOT 김민수 - 2015-01-04 4103
438 대한국(大韓國:1897- ) 1대 황제 고조 광무제(高祖 光武帝:1897-1919) 실록 편찬해야HOT 김민수 - 2015-01-03 4732
437 숭인원은 이육(李堉)의 능으로 바로잡고 마사코,이구 이장, 영휘원을 엄씨 묘로 개칭해야HOT 김민수 - 2015-01-02 3874
436 김대중이가 잘한것HOT 오댕궁물 - 2015-01-02 3882
435 배반(排班)을 무시하고 진하례(陳賀禮) 중심으로 찍지 않은 기록화아닌 탄강진하도HOT 김민수 - 2014-12-30 3967
434 미국 진보도 드럽게 무섭구만?HOT 오댕궁물 - 2014-12-29 4007
433 내란범 이석기 이렇게 확정 판결하라HOT 땅땅땅 - 2014-12-29 3901
432 아시아문화전당,중앙극장,정책방송,해외문화홍보원,현대미술관,무형유산원 법인화해야HOT 김민수 - 2014-12-29 4032
431 백두산 - 무산(茂山) - 회령(會寧) - 온성(穩城) - 녹둔도로 흐르는 북대한해(북해:北海)HOT 김민수 - 2014-12-29 3902

메인페이지가 로드 됐습니다.
기획특집
가장많이본 기사
뉴타TV 포토뉴스
연재코너  
오피니언  
지역뉴스
공지사항
동영상뉴스
손상윤의 나사랑과 정의를···
  • 서울특별시 노원구 동일로174길 7, 101호(서울시 노원구 공릉동 617-18 천호빌딩 101호)
  • 대표전화 : 02-978-4001
  • 팩스 : 02-978-8307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종민
  • 법인명 : 주식회사 뉴스타운
  • 제호 : 뉴스타운
  • 정기간행물 · 등록번호 : 서울 아 00010 호
  • 등록일 : 2005-08-08(창간일:2000-01-10)
  • 발행일 : 2000-01-10
  • 발행인/편집인 : 손윤희
  • 뉴스타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뉴스타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newstowncop@gmail.com
ND소프트